해병대 합동 공중재보급 훈련에 '마린온' 최초 투입…해군 특전대대도 최초 참가

입력 2025-04-30 17:21:16

지난 28일부터 30일까지 훈련 진행하며 전투력 한 단계 끌어올려

지난 28일부터 30일까지 포항비행장과 포항시 북구 송라면 조사리 일대에서 해병대 합동 공중재보급 훈련이 이뤄지고 있다. 해병대 군수단 제공.
지난 28일부터 30일까지 포항비행장과 포항시 북구 송라면 조사리 일대에서 해병대 합동 공중재보급 훈련이 이뤄지고 있다. 해병대 군수단 제공.

해병대가 유사시 항공기를 통해 긴급 보급품을 육지 작전 중인 부대에 공중 수송하는 훈련을 진행하며 전투력을 한 단계 끌어올렸다.

해병대는 지난 28일부터 30일까지 경북 포항비행장과 조사리 훈련장 일대에서 '합동 공중재보급 훈련'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훈련은 해군·해병대 합동상륙훈련과 연계해 이뤄졌다. 훈련에는 해병대 1사단, 군수단, 항공단, 해군 특전대대 및 공군 작전사·군수사가 참여했으며, 해군 마라도함 및 공군 C-130 수송기, 해병대 마린온(MUH-1) 등 해상 및 공중 전력이 투입됐다.

특히 해군에서 운용하는 상륙함 마라도함에 탑재된 해병대 상륙기동헬기 마린온이 긴급 보급품을 공중 수송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마린온의 다양한 운용 가능성을 실전에서 검증하는 계기가 됐다.

상륙작전 시 선견부대작전을 주 임무로 하는 해군 특전대대도 이번 훈련에 최초로 참가해 눈길을 끌었다.

훈련에는 '컨테이너 보급 시스템(CDS)'이 활용됐다. 장비, 식량, 유류 드럼 등 약 800㎏의 물자가 A-22 화물낭 6개에 포장돼 공중에서 투하됐다. 이와 함께 81mm 박격포-II 등 전투 물자가 적시·적소에 지원돼 상륙군의 임무수행을 도왔다.

한지훈 해병대 군수참모처장(대령)은 "적의 종심지역까지 전개되는 높은 난이도의 상륙작전은 지상 보급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공중재보급을 통한 신속한 지원이 필수적"이라며 "이번 훈련에서 해병대는 고정익 항공기를 활용한 화물 투하와 회전익 항공기를 활용한 헬기 내부 인양 훈련을 실시하며, 공중재보급 능력 향상에 집중했다"고 말했다.

지난 28일부터 30일까지 포항비행장과 포항시 북구 송라면 조사리 일대에서 해병대 합동 공중재보급 훈련이 이뤄지고 있다. 해병대 군수단 제공.
지난 28일부터 30일까지 포항비행장과 포항시 북구 송라면 조사리 일대에서 해병대 합동 공중재보급 훈련이 이뤄지고 있다. 해병대 군수단 제공.
지난 28일부터 30일까지 포항비행장과 포항시 북구 송라면 조사리 일대에서 해병대 합동 공중재보급 훈련이 이뤄지고 있다. 해병대 군수단 제공.
지난 28일부터 30일까지 포항비행장과 포항시 북구 송라면 조사리 일대에서 해병대 합동 공중재보급 훈련이 이뤄지고 있다. 해병대 군수단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