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대규모 정전에도 5월 17일 '완전 탈원전'…원전 운영 계획 신중히 접근해야
데이터센터 등 전력 수요 늘어나는 만큼 '탈원전' 탈피 해야
스페인과 포르투갈 전역을 덮친 정전 사태가 국제 사회의 에너지 전략에 파장을 일으키는 가운데, 정부가 원전 운영 계획을 신중히 수립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지난 28일(현지시간) 정오께 스페인과 포르투갈 전역에 걸쳐 발생한 대규모 정전 사태는 두 나라 국민들을 혼란에 빠뜨렸고, 스페인 정부는 급기야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하기에 이르렀다.
스페인은 현재 7기의 원자로를 운영하며 전체 전력의 약 20%를 감당하고 있음에도 이번 정전 사태는 원자력 발전의 필요성에 대한 재평가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실제로 스페인 정부는 지난 2019년부터 원전 단계적 폐쇄 정책을 추진해왔으나, 기류가 바뀌고 있다. 브롬버그 보도에 따르면, 스페인 친환경전환부 장관 사라 아헤센은 최근 인터뷰에서 "원전 운영 연장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고 밝혀, 기존 탈원전 정책에 대한 내부 재검토 움직임이 있음을 시사했다.
아시아에서도 유사한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원전 1기를 가동 중인 대만은 오는 5월 17일 마지막 원전의 가동을 중단할 예정이나, 전력 수급의 불안정성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다. 지난 8년간 대만에서는 4차례의 대규모 정전이 발생했으며, 2022년 한 해 동안만 무려 313건의 정전이 보고됐다.
탈원전 이후 대만은 액화천연가스(LNG) 수입에 의존하면서 대만해협의 지정학적 위험성에 따라 언제든 공급 차질을 빚을 수 있어 에너지 안보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
이처럼 유럽과 아시아에서 일어나고 있는 '탈원전 우려'에 대해 한국의 차기 정부도 심도 있게 검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특히 장미 대선을 앞두고 후보들이 앞다퉈 AI와 반도체 산업 육성을 내걸고 있는 만큼 산업계와 에너지업계 모두 안정적 전력망 확보를 위한 구체적 실행 방안을 요구하고 있다.
한국원자력학회는 지난 2월 정부의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신규원전 계획이 축소된 것에 대해 강하게 반발했다. 학회는 "정치적 대립과 졸속 행정이 백년대계여야 할 국가 에너지 정책을 한낱 정치적 흥정거리로 전락시키고 말았다"고 비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민주당 대선 후보 이재명 확정…TK 출신 6번째 대통령 되나
김재섭, 전장연 방지법 발의…"민주당도 동의해야"
이재명 "함께 사는 세상 만들 것"…이승만·박정희 등 묘역참배
文 "이재명, 큰 박수로 축하…김경수엔 위로 보낸다"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