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킹 공포 번지자 대규모 이동… KT '함박웃음'
SK텔레콤에서 시작한 유심 무상 교체 서비스가 역설적으로 대규모 가입자 이탈을 불러온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하루 동안 SK텔레콤에서 다른 통신사로 이동한 고객 수가 3만4천 명을 넘은 것으로 확인됐다.
29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28일 SK텔레콤 가입자 3만4천132명이 번호이동을 통해 경쟁사로 이탈했다. 같은 날 SK텔레콤으로 새로 유입된 가입자는 8천729명에 그쳐, 순감소 인원은 2만5천403명에 달했다.
이동한 가입자 중 약 60%는 KT로 이동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날 KT에 새롭게 가입한 이용자는 2만1천343명, LG유플러스에는 1만4천753명이 새로 가입했다. 알뜰폰(MVNO)으로 옮긴 이용자까지 포함하면 실제 이탈 규모는 더 클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SK텔레콤의 가입자 이탈은 해킹 사고 이후 급격히 늘었다. 지난 18일 SK텔레콤은 해커에 의해 악성 코드가 유포돼 일부 이용자의 유심 관련 정보가 외부로 유출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했다. 이후 보안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26일부터 SK텔레콤을 떠나는 고객들이 눈에 띄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달 초까지만 해도 하루 이탈 인원이 200명을 넘지 않았지만, 26일에는 1천665명이 SK텔레콤을 떠났고, 이탈 규모는 이후 빠르게 커졌다.
가입자 방어를 위한 대응도 있었다. SK텔레콤 대리점과 판매점들은 주말 동안 자사로 이동하는 고객들에게 기존보다 높은 수준의 보조금을 지급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같은 보조금 지원이 8천729명의 신규 가입 유치에 일정 부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분석된다.
현재 SK텔레콤은 2천300만 명 규모의 가입자를 보유하며 통신 3사 가운데 1위를 지키고 있다. KT는 1천만 명 중반대, LG유플러스는 1천만 명 초반대 가입자를 확보하고 있다.
가입자 수에서는 여전히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최근 잇따른 대규모 이탈로 인해 향후 이동통신 시장의 지형에 변화가 일어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이재명 42% vs. 범보수 41% "한덕수·국힘 승산 있다" [뉴스캐비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