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0 참석' 최상목 "글로벌 불균형 완화 해법 모색해야"

입력 2025-04-24 16:18:35

최상목, 美서 열린 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1일차 회의 참석

한-미 통상협의(Trade Consultation)와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 및 국제통화금융위원회(IMFC)
한-미 통상협의(Trade Consultation)와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 및 국제통화금융위원회(IMFC)'에 참석코자 미국 워성턴D.C.를 방문 중인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3일(현지시간) 국제통화기금(IMF)에서 프랑수아 필립 샹파뉴 캐나다 재무장관과 면담했다. 2025.4.24. 기재부 제공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국제기구 수장과 세계 각국 재무장관과 만나 장벽 없는 다자간 무역 체제의 가치를 강조했다.

24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최 부총리는 23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1일차 회의에서 "한국은 장벽 없는 자유로운 다자간 무역체제 수혜국이자 글로벌 공급망의 한 축으로 기여하고 있다"면서 "글로벌 불균형 완화 등 다자 무역 체제의 지속 가능성 확보를 위해 국제사회가 함께 해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최 부총리는 "급격한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우려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기 위해 위기 대응의 최후의 보루인 재정건전성을 지켜나가야 한다"며 "글로벌 금융안전망을 재점검하고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인구, 기후 등 구조적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국가별 자발적, 선제적 구조개혁 노력이 중요하다"며 "G20 국가 간 사례 공유가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이후 최 부총리는 주요국 재무장관, 국제기구 총재들과도 면담하고, 한국과 협력을 확대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최 부총리는 워싱턴D.C. 도착 직후 유럽연합(EU) 순회의장국을 맡고 있는 폴란드의 안제이 도만스키(Andrzej Domański) 재무장관을 만나 K2전차 수출 등 양국 방산 협력, 제2차 한-폴란드 경제대화 개최 등 양국 간 경제협력 강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한-미 통상협의(Trade Consultation)와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 및 국제통화금융위원회(IMFC)
한-미 통상협의(Trade Consultation)와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 및 국제통화금융위원회(IMFC)'에 참석 차 미국 워성턴D.C.를 방문 중인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2일(현지시간) 세계은행(WB)에서 아제이 방가 세계은행(WB) 총재와 양자면담에 앞서 악수하며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2024.4.23. 기재부 제공

이어 아제이 방가(Ajay Banga) 세계은행(WB) 총재와 만나 디지털 협력 확대를 논의했다. 최 부총리와 방가 총재는 올해 중 WB 한국사무소 디지털 지식센터 설립, 한국 디지털 신탁기금 신설 등 디지털 분야에서 협력을 확대하기로 했다. 특히 최 부총리는 WB에 한국인 채용과 고위직 비중 확대에 대한 관심을 당부했다. 또 G20 회의장에서 프랑수아 필립 샹파뉴(François-Philippe Champagne) 캐나다 재무장관을 만나 글로벌 불확실성과 관련해서 의견을 교환했다.

중국 란 포안 재무장관과도 면담을 갖고, MDB(다자개발은행) 협력 방안을 비롯한 주요 국제금융 현안에 대해 폭넓게 의견을 교환했다. 또한 중국이 의장국을 맡은 다음달 아세안+3 재무장관회의에서 실질적인 성과가 도출될 수 있도록 양국이 긴밀히 협력하자는 의견도 제시했다. 아울러 한국이 의장국을 맡은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재무장관회의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중국 측의 지속적인 관심과 협력을 당부했다.

한-미 통상협의(Trade Consultation)와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 및 국제통화금융위원회(IMFC)
한-미 통상협의(Trade Consultation)와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 및 국제통화금융위원회(IMFC)'에 참석코자 미국 워성턴D.C.를 방문 중인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3일(현지시간) 세계은행(WB)에서 란 포안 중국 재무장관과 면담에 앞서 악수하며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2025.4.24. 기재부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