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산불 피해주민 공공형 긴급 일자리 사업 추진…'월급 받고 피해 복구도 참여'

입력 2025-04-24 17:23:51 수정 2025-04-24 17:29:23

월 122만원 내외 인건비 지원
예비비 200억 투입, 피해지역 조속한 재건과 일상회복 기대

경북도청 전경. 매일신문DB
경북도청 전경. 매일신문DB

경상북도가 지난달 초대형 산불로 막대한 피해를 입은 주민들의 생계안정과 일상 회복을 위해 6개 분야 2천개의 공공형 일자리를 제공하는 대규모 긴급 사업에 나선다.

24일 경북도에 따르면 안동, 영양, 봉화, 청송, 영덕 등 5개 시군 산불 피해지를 대상으로 오는 6월부터 12월 말까지 '산불 피해주민 공공형 긴급 일자리사업'을 추진한다.

이번 산불로 도내 약 10만㏊ 이상의 산림과 농경지가 소실됐다. 또 주택과 창고, 축사, 어선, 양식장 등이 불에 타고 3천767명의 이재민이 발생한 등 사상 유례없는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

특히, 직접적인 피해를 입은 주민들은 하루아침에 생계와 터전을 잃고 극심한 어려움에 처한 상황이다.

이에 경북도는 조속한 피해 복구와 주민들의 생활 안정을 위해 예비비 200억원(도비 160억원·시군비 40억원)을 긴급 투입해 총 2천개의 공공형 긴급 일자리를 제공할 계획이다.

주요 업무 분야는 ▷산림 복구작업(산림정비, 나무식재, 산사태 예방) ▷농·어·임업 지원(피해 농·어업지 정비, 영농활동 보조) ▷소상공인 서비스업 지원 ▷피해지역 환경개선(임시 주거시설 설치, 주택 정비 및 청소, 환경정화) ▷공공행정 서비스 지원(행정업무 보조, 주민 상담) ▷지역공동체·마을단위 사업 등 6개 분야다.

다만, 구체적인 사업 대상과 주요 활동 분야 등은 각 시군의 수요조사 결과에 따라 일부 변경될 수 있다.

지원 대상은 ▷산불피해 면적 50% 이상 지역의 산림·농어업 종사자 ▷주택 전소 피해자 ▷피해 소상공인 ▷기타 산불 피해 주민 등이다. 선발된 주민은 1인당 주 25시간 근무 기준으로 월 122만 원 내외의 인건비가 지급된다.

경북도는 이번 긴급 일자리 사업이 지역 주민들의 최소한의 생계 유지는 물론 복구 작업에도 직접 참여해 지역 사회가 조속히 정상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철우 경상북도지사는 "이번 일자리 사업은 단기적 지원에 그치지 않고, 산불 피해로 실의에 빠진 주민들에게 실질적인 생계안정과 재기의 기회를 제공하는 재난 극복 정책"이라며 "어려운 상황일수록 행정이 앞장서 주민들의 빠른 일상 복귀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