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경모 계명대 국제처장 "정착형 유학생은 지역 자산"

입력 2025-04-28 14:26:32 수정 2025-04-28 15:29:05

"단순 유치 넘은 정착 전략 필요…지자체·기업과 협력 필수"
"한국어에서 지역 산업까지…유학생 생태계는 대학 밖에서 완성된다"

계명대 민경모 국제처장
계명대 민경모 국제처장

"유학생은 단기 체류자가 아니라, 지역사회의 일원이 될 수 있는 인재입니다."

계명대 민경모 국제처장은 유학생 정책의 근본적인 전환을 강조하며, 단순 유치 중심에서 벗어나 정착과 취업을 지원하는 구조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민 처장은 실무 책임자로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비자 제도 개선부터 한국어 교육, 기업 연계까지 유학생 정착을 위한 현실적인 해법을 제시했다.

◆"유학생은 정주형 인재로 육성해야"

민 처장은 "과거엔 유학생이 학업을 마치고 귀국하는 게 당연했지만, 지금은 국내에서 일하고 정착하려는 수요가 뚜렷하다"고 말했다.

계명대는 '라이즈(RISE)' 사업 참여를 계기로 유학생의 학업-취업-정주를 아우르는 체계를 설계했다. 그는 "이제 대학은 유학생의 이후 삶까지 고민해야 한다"며 "한국어와 문화 이해는 물론, 직무 능력을 갖추는 방향으로 교육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계명대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기반한 한국어 교육과정을 도입해, 유학생이 실제 기업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언어능력을 기르도록 하고 있다. "언어만 잘하는 게 아니라, 일을 할 수 있어야 진짜 정착"이라는 게 그의 설명이다.

유학생 정주를 가로막는 장애로 민 처장은 비자 제도를 꼽았다. 현재 대구(군위군 제외)에서는 서구와 남구만이 지역특화형 비자(F2-R) 발급 대상이지만, 실제 외국인 근로자와 다문화 가정이 집중된 지역은 달서구와 달성군이다.

"정작 산업체가 밀집한 지역은 빠져 있다. 주소지 기준보다는 실제 취업지나 생활 기반을 반영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비자 발급을 위한 소득 기준이 현실과 동떨어져 있다는 점도 문제로 짚었다. "일정 수준 이상의 연봉을 요구하는데, 지역 기업 입장에선 쉽지 않은 조건이다. 수도권과 동일 기준을 적용하는 건 불합리하다"고 밝혔다.

◆"계명대 어학 시스템, 진학 연계의 모델"

계명대는 대구경북 최대 규모인 1천500명 규모의 한국어학당을 운영 중이다. 입학 전 단계부터 한국어와 한국문화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며, 유학생의 상당수가 본교 학위 과정으로 진학한다. 이는 타 대학 대비 높은 수치다.

"보통 어학당과 학부가 별개로 운영되지만, 우리는 프리스쿨 개념으로 어학 교육부터 학부 입학까지 연계하는 체계를 갖췄다"고 설명했다. 입학 후에도 300시간 무료 한국어 수업, 한국인 버디 프로그램, 유학생 선배 튜터링 등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계명대는 미국, 베트남, 중국, 타지키스탄, 몽골 등 5개국에 '계명코리아센터'를 설치해, 현지에서 한국어와 문화를 익힌 뒤 한국 본교로 진학하는 유학생 루트를 운영하고 있다. "해외 유학의 프리스쿨처럼, 계명만의 정착형 유학생 루트를 만든 것"이라며 "과거에는 12개국까지 확대했던 경험도 있다"고 설명했다.

민 처장은 유학생 생활 전반에 대한 지원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계명대는 병원 동행, 주거지 알선, 생활 상담 등 눈에 보이지 않는 부분까지 관리하고 있다. "한국어 강사와 국제처 직원이 학생들의 건강과 생활까지 챙기고 있다. 이런 게 진짜 적응을 돕는 일"이라고 말했다.

민경모 국제처장은 마지막으로 "정착형 유학생은 지역의 중요한 자산"이라며 "대학 혼자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지역 기업, 지자체, 정부가 함께 참여하는 구조적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