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들의 경기 전망 악화가 장기화되고 있다. 제조업·수출 부문에서 기업 심리 악화가 두드러졌다.
23일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에 따르면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5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전망치 조사 결과, 85.0으로 집계됐다.
BSI가 기준치인 100보다 높으면 전월 대비 경기 전망이 긍정적이고 100보다 낮으면 부정적인 것을 의미한다. 현재 BSI 전망치는 2022년 4월(99.1) 이래 매달 기준치를 밑돌며 역대 최장 부진 기록을 경신하고 있다.
올해 들어 BSI는 1월 84.6, 2월 87.0, 3월 90.8로 반등하는 듯했으나 4월(88.0) 이래 두 달 연속 하락했다.
업종별로 제조업 79.2, 비제조업 90.8을 기록했다. 특히 제조업은 2020년 8월(74.9) 이후 4년 9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석유화학, 철강 등 주력 산업 경영 악화가 장기화하는 가운데 미국 관세 등으로 글로벌 통상 리스크가 확대되면서 제조업 심리가 위축됐다고 한경협은 분석했다.
제조업 세부 업종별로 의약품(125.0), 식음료·담배(107.1)를 제외한 8개 부문이 부진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밖에 섬유·의복·가죽·신발(57.1), 비금속 소재·제품(69.2), 석유정제·화학(72.4), 목재·가구·종이(75.0), 금속·금속가공제품(75.9), 일반·정밀기계·장비(76.2), 자동차·기타운송장비(78.8), 전자·통신장비(94.4) 등이 기준치를 밑돌았다.
비제조업의 경우 5월 연휴 특수가 예상되는 여가·숙박·외식(142.9), 운수·창고(107.7)를 제외한 5개 업종이 부정적으로 전망됐다.
조사 부문별 BSI는 내수(87.2), 투자(87.2), 수출(89.1), 고용(89.1), 채산성(89.9), 자금 사정(90.7), 재고(103.3) 등 모든 부문에서 부정적이었다. 재고는 기준선 100을 넘으면 과잉으로 부정적이라는 의미다.
특히,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큰 수출은 글로벌 불확실성 확대로 지난 2020년 9월 이후 처음으로 90 아래로 떨어졌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미국발 관세 정책과 주요국의 맞대응으로 국제교역 불확실성이 크게 확대되고 있다"며 "반도체, 석유화학, 자동차, 철강 등 수출 주력 업종에 대한 투자 촉진과 세제 지원 등을 통해 기업 심리를 안정시킬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