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저출생 극복 위한 '생애주기형 지원체계' 본격화

입력 2025-04-22 16:20:37

일자리·주거·돌봄 등 맞춤형 지원 추진… 전문가 실무그룹 가동
지역 정착부터 결혼·출산까지 유기적 연계, 내년부터 시범 시행
"APEC 핵심 의제 선도… 전국 확산 가능한 정책모델 만든다"

22일 김학홍 경북도 행정부지사 주재로 열린 저출생 극복 전문가 워킹그룹 전제 회의에 참석한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경북도 제공
22일 김학홍 경북도 행정부지사 주재로 열린 저출생 극복 전문가 워킹그룹 전제 회의에 참석한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경북도 제공

경상북도가 일자리부터 주거, 돌봄까지 포괄하는 생애주기형 지원체계 구축하는 등 저출생 문제 해결에 발 벗고 나섰다.

22일 경북도에 따르면 이날 김학홍 경북도 행정부지사(경북도지사 권한대행) 주재로 저출생 분야 전문가 20여명이 참석한 '저출생 극복 전문가 실무그룹' 전체 회의가 도청에서 열렸다.

전문가 실무그룹은 ▷일자리·돌봄 분과 ▷주거·기반 분과 ▷돌봄 로봇·산업 분과 등 세 분야로 구성된다. 국책연구기관, 지역 연구소, 대학, 공공기관 등 다양한 전문 인력이 참여했다.

이들은 저출생 극복 핵심 사업 발굴과 저출생과 전쟁 시즌2 저출생 대전환 구상에 담긴 실행 과제들을 구체화하고 저출생 위기 체계적 대응 방안 등 저출생 극복 분야 전반을 다룬다.

아울러 2025년 APEC 정상회의 핵심의제인 인구구조변화 대응을 위한 정책발굴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번 회의에서 경북도는 일자리, 주거, 육아·돌봄 등 핵심 지원 분야를 중심으로 한 '저출생 도민 지원체계' 기본 구상을 발표했다. 주요 과제로는 돌봄 일자리의 질적 개선과 확대, 청년과 신혼부부를 위한 임대·주택 마련 지원, 지역 여성의 경제·사회 참여 기회 확대, 아이와 가족 중심의 여가·문화 기반 조성 등이 꼽혔다.

이어진 분과별 회의에서는 부처 간 돌봄 사업 연계성 강화, 육아로 인한 경력단절 여성 맞춤형 단기 일자리 제공, 돌봄을 산업 생태계로 육성해 일자리 창출 및 기업 투자 활성화, 결혼·출산·육아 관련 규제 완화 등이 논의됐다.

도는 전문가들이 제시한 의견과 정책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마련하고 내년도 예산에 반영해 우선 시범 시행할 계획이다. 지역에 정착해 일자리를 갖고 결혼과 출산으로 이어지는, 이른바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 모델을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회의에 참석한 이재희 육아정책연구소 팀장은 "이번 대응안은 '만남-결혼-출생-돌봄'이라는 생애 전 과정을 고려해 일자리와 주거, 돌봄, 문화 등 다양한 정책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적 해법을 제시한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출산 장려라는 단순한 접근에서 벗어나 청년과 가족이 지역에서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실질적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김 부지사는 "저출생 문제는 2025년 APEC 정상회의 핵심의제일 만큼 글로벌한 과제로 부상했다"며 "다양한 분야 전문가들과 협력해 꼭 필요한 정책을 경북에서 먼저 시행하고 이를 전국으로 확산하는 선도 모델을 만들어 가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