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동네가 더 오염됐다?"…포스텍 연구진 분석 결과로 증명

입력 2025-04-09 13:30:12 수정 2025-04-09 14:10:05

인공위성 자료 이용해 이산화질소 농도 정밀한 추정에 성공

포스텍 이형주 교수
포스텍 이형주 교수
포스텍 통합과정 김나래 씨
포스텍 통합과정 김나래 씨

"부자 동네가 더 오염됐다?"

포스텍(포항공대) 환경공학부 이형주 교수, 통합과정 김나래 씨 연구팀이 인공위성 자료를 통해 우리나라 전역의 이산화질소(NO2) 농도를 분석한 결과 부유한 지역일수록 농도가 높아진다는 사실을 수치로 밝혀냈다.

이번 연구는 환경 분야 국제 학술지인 '환경과학&기술' 온라인판에 최근 게재됐다.

이산화질소는 자동차 배기가스에서 주로 배출되는데, 다른 대기오염물질보다 반응성이 크고 대기 중 체류 시간이 짧아 지역별로 농도 차이가 크다.

하지만 지상 측정소의 수가 제한적이고 고르게 분포돼 있지 않아 그간 수㎞ 단위의 넓은 지역 평균값만 추정해 왔다.

이에 연구팀은 유럽우주국(ESA)의 트로포미 위성에서 수집한 이산화질소 데이터와 교통 관련 토지이용 정보를 결합해 2018~2022년 우리나라 전역의 이산화질소 농도를 500m 단위로 정밀하게 추정하는데 성공했다.

이 고해상도 데이터를 활용해 전국 17개 시도의 지상 측정망이 실제 인구 노출 수준을 얼마나 정확히 반영하는지 확인한 결과, 지역에 따라 측정소 데이터가 실제 이산화질소 노출 수준을 최대 11~61%까지 적거나 많게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산화질소 농도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선 인구 대비 측정소 수를 늘일 게 아니라 위치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방증하는 결과로 인식된다.

또 연구팀은 경제적 수준에 따른 이산화질소 노출 차이도 분석했다.

철강이나 석유 등 산업단지 등을 끼고 발전한 지역이나 주택단지 등이 밀집돼 있는 경우에서 높은 이산화질소 농도가 나타났다.

포스텍 이형주 교수는 "이산화질소뿐 아니라 미세먼지, 오존 등 다양한 대기오염물질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라며 "대기오염 노출과 건강 영향 사이의 관계를 더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선 지역의 의료 인프라, 근린 환경, 건강 행태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한 종합적인 연구도 필요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