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가지 논란 휩싸인 제주, "갈치·삼겹살 가격 개선, 가성비 관광지 만들 것"

입력 2025-04-06 21:17:31

민관협의체 구성해 첫 회의, "고비용·불친절 이미지 개선"

바가지 논란이 된 제주도 축제장의 순대볶음의 모습. 온라인 커뮤니티
바가지 논란이 된 제주도 축제장의 순대볶음의 모습. 온라인 커뮤니티

최근 축제장 음식 바가지 논란 등에 휩싸인 제주도가 관광 경쟁력 회복을 위해 고비용·불친절 이미지 개선에 나섰다.

6일 제주도는 민관협의체를 구성해 전국 평균보다 비싸다고 평가받는 갈치, 삼겹살, 김치찌개, 짜장면, 칼국수 등 주요 외식 품목 가격 개선에 나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1인 메뉴 개발, 주문 단위별 적정가격 제시, 음식점 외부 대표메뉴 가격 표시, 저렴한 현지 맛집 정보 제공 등을 추진한다. 동참하는 업체에는 착한가격업소 추천과 인센티브를 줄 계획이다.

앞서 오영훈 제주지사는 지난달 31일 월간 정책공유회의에서 제주 관광이 비싸다는 이유로 1인당 7만∼10만원 하는 갈치구이가 대표적 사례로 꼽히고 있다며 이런 고비용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주문한 바 있다.

도는 사회관계망(SNS)과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여행 비용에 대한 평가가 빠르게 공유되는 상황에서 관광 서비스 품질과 여행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시급하다고 판단, 고비용·불친절 이미지 개선에 나섰다고 설명했다.

도는 또 최근 '순대 6개가 든 순대볶음 2만5천원' 등의 사례로 불거진 축제장 바가지요금 논란 해소를 위해 참여 업체와 음식 가격을 사전에 협의하고 메뉴판에 음식 견본 이미지와 모형 비치를 권고하기로 했다.

바가지요금신고센터도 운영하며, 관광협회는 행사장 내 관광불편신고센터를 지원해 문제 발생 시 즉각 대응한다.

아울러 친절서비스 확산을 위해 관광사업체별 친절교육과 캠페인을 실시하고, 관광 불편 신고에 적극 대응한다.

제주도는 이런 개선방안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가성비 높은 제주 관광 만들기' 민관협의체를 출범시켰다.

협의체에는 숙박, 교통, 음식점, 관광지, 여행업, 골프장, 해수욕장 등 관광산업 7대 분야의 도·행정시 소관 부서와 제주도관광협회 분과위원장, 유관 단체 대표들이 참여한다.

김병효 한국외식업중앙회 제주지회장이 공동위원장을 맡아 제주도 관광교류국장과 함께 민관 협력을 이끌어간다.

협의체는 지난 4일 첫 회의에서 제주 관광의 주요 현안을 진단하고 개선방안을 논의했다.

참여 업계 대표들은 관광객 감소 배경을 파악할 수 있는 관광 현황과 데이터 공유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관광객에게 새롭고 다양한 볼거리 제공 등의 의견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