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야당은 확실한 원톱으로 일찌감치 바람몰이

입력 2025-04-06 17:24:09 수정 2025-04-06 20:43:30

李, 여론조사 압도적 1강…선거법 2심 무죄·尹탄핵 인용에 걸림돌 없어
당 대표 재임 기간 만들어온 대선용 정책…본선에서 그대로 이어갈 전망
전당대회 개최 예정에도 원톱 굳어져…김부겸·김동연·김경수 등 후보 경쟁력 관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파면 선고에 대한 입장을 밝히기 위해 회의장으로 들어서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파면 선고에 대한 입장을 밝히기 위해 회의장으로 들어서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은 조기 대선이 확정됨에 따라 일찌감치 대선 행보를 걸어온 이재명 대표를 사실상 '원톱'으로 삼아 여론 바람몰이에 나서고 있다.

6일 민주당에 따르면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으로 조기 대선이 실시됨에 따라 대선 주자를 선출할 전당대회를 진행할 예정이다. 다만 이재명 대표가 각종 여론조사에서 압도적 지지를 받고 있고 당 대표로서 탄핵 국면에서도 이끌어온 만큼 사실상 견제할 수 있는 야권 주자가 없는 상황이다.

경쟁자로 꼽혀온 김부겸 전 국무총리, 김동연 경기지사, 김영록 전남지사, 김경수 전 경남지사, 김두관 전 의원 등은 출마를 앞두거나 고심하고 있지만 이 대표의 아성에 도전장을 내밀기 쉽지 않은 형국이다.

당내 확실한 일극 체제를 구축했을 뿐만 아니라 가장 큰 약점이었던 공직선거법 2심도 무죄를 받고, 윤 전 대통령 탄핵도 인용된 데다가 여론조사마저 압도적인 상태다. 당 지도부도 내부 경선보다는 국민의힘 후보와의 본선 경쟁을 더 염두에 두고 있다.

이 대표는 대선일 확정 후 곧장 사퇴할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당 당헌에 따르면 대선에 출마하려는 당 대표는 대선일 기준으로 1년 전까지 사퇴해야 하지만 이미 예외 규정을 만들어 뒀다.

민주당은 지난해 6월 당헌을 개정하면서 대통령 궐위 등 국가적 비상 상황 발생과 같은 '특별하고 상당한 사유'가 있을 때는 당무위원회 의결로 사퇴 시한을 조정할 수 있다고 예외 규정을 추가했다. 현직 대통령 파면으로 인한 조기 대선은 이런 특별 사유에 해당할 전망이다.

이 대표 사퇴 후 대선 준비를 맡을 권한대행도 친이재명계 핵심인 박찬대 원내대표인 데다가 이미 오랜 기간 이 대표의 대선 출마를 염두에 두고 전략과 공약 등을 당 차원에서 가다듬어 온 만큼 그대로 이어받아 대선에 돌입할 것으로 보인다.

정치권에서는 이 대표가 당의 전통적 노선을 깨고 중도보수론을 주장하는 등 중도층 공략을 위한 사실상 대선 행보를 걸어왔지만 일극체제 속 당도 적극적으로 발맞춰오면서 여론전을 펼쳐온 만큼 일찌감치 대선 원톱으로 세웠다 해도 과언이 아니라는 의견이다.

특히 대통령 궐위 시 60일 이내에 후임자를 뽑아야 한다는 헌법 제68조 2항에 따라 당 경선을 속도감 있게 치러야 하는데 비이재명계 등의 반발에도 현행 경선 규정인 권리당원 50%, 일반 국민 50% 국민참여경선 방식을 유지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졌다.

민주당 관계자는 "이 대표가 이미 압도적인 상황에서 대선 일정도 짧은 만큼 경선룰 개정으로 시간 끌 이유가 없다"며 "사실상 전당대회부터 대선 모드로 들어가겠다는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