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재판소가 4일 비상계엄을 선포했던 윤석열 대통령의 파면(罷免)을 결정했다. 현직 대통령의 파면은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에 이어 두 번째다. 나라의 불행이고, 현대사의 비극이다. 탄핵을 찬성한 쪽은 승리했고, 탄핵을 반대한 쪽은 패배했다고 여길 일이 아니다. 헌재 결정 직후 국민의힘은 승복했고, 국민에게 사과했다. 다행히 탄핵 찬반 집회에서 불상사도 없었다.
대통령 탄핵 정국은 경제·안보 위기에 놓인 나라를 국난(國難)의 상황으로 몰아넣었다. 국가의 품격은 훼손됐고, 대외 신인도는 떨어졌다. 내수시장은 얼어붙고, 수출은 미국의 '관세 폭격'을 맞았다. 물가는 오르고, 서민들은 생계를 위협받고 있다. 그런데도 광장과 거리는 갈등과 분열의 언어로 뒤덮였다. 정치권은 이를 부추겼다.
헌재의 탄핵심판은 끝났다. 일단 깜깜한 터널을 벗어났지만, '탄핵 이후가 더 걱정'이란 말이 현실이 될까 두렵다. 조기 대선으로 갈등이 증폭(增幅)될 가능성도 크다. 이 와중에 6일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비상계엄 관련 반헌법 행위자 처벌 특별법'을 발의한 것은 정쟁을 키우는 무책임한 행태다. 헌재는 윤 대통령 파면을 선고하면서 야당에 대해 "소수 의견을 존중하고 정부와의 관계에서 관용과 자제를 전제로 대화와 타협을 통해 결론을 도출하도록 노력했어야 한다"고 밝혔다. 대립의 정치엔 윤 대통령뿐만 아니라, 민주당에도 책임이 있다는 지적이다.
이제는 갈등과 분열을 멈춰야 한다.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생각과 가치관이 다른 사람들을 포용하며 함께 사는 것이 공화주의(共和主義) 정신이다. 여야는 죽기 살기식 정쟁(政爭)을 자제하고, 지지층을 자극하지 말아야 한다. 나라의 경제와 안보는 숨 가쁘다. 소모적인 정쟁으로 시간을 보낼 때가 아니다. 혼란한 정국을 수습하고, 분열을 치유하는 게 급선무다. 정부와 정치권은 머리를 맞대고 '무역 전쟁' 대응, 내수 활성화, 산불 복구·이재민 지원, 국민연금 개혁, 의정 갈등 해결 등 국가 현안들을 풀어 가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홍준표, 대선 출마 선언 "치유의 시간 하루면 족해, 30년 정치인생 마지막 사명으로 철저히 준비"
문형배 "탄핵심판 원만하게 진행되도록 한 언론인·경찰에 감사"
[단독] '애국가 아이돌' 이철우 경북도지사, '장미대선' 나간다…출마 무게두고 고민 중
한덕수, '중도보수 통합' 대안 주자 부상…"이재명과 맞설 유일한 카드" 주목
대구시장·경북도지사 첫 동반 대선 출사표…TK 민심 어디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