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세 "국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사과드린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이후 두번째 여당 지위 상실
당분간 윤 전 대통령 탈당·출당 이야기 없을듯
국민의힘이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3년 만에 집권여당 지위를 잃게 됐다. 사과에 나선 당 지도부가 "헌재 결정을 겸허하게 수용한다"고 밝히면서 윤 전 대통령과의 관계 설정에도 관심이 쏠린다.
4일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헌법재판소의 선고 직후 "안타깝지만 국민의힘은 헌재의 결정은 무겁게 받아들이며 겸허히 수용한다"며 "국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는 이 결정을 존중하는 것이 민주주의와 법치주의를 수호하는 길임을 믿는다"며 "혼란을 수습하고 헌정 질서가 흔들리지 않도록 대통령 권한대행 체제가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주어진 헌법적 책무를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당 소속 대통령 파면으로 집권여당이 지위를 상실하게 된 것은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이후 두 번째다. 국민의힘은 지난 2022년 윤 전 대통령을 앞세워 극적인 대선 승리를 거뒀지만 지난해 총선에서 범야권에 대규모 의석을 내주며 거야의 입법, 특검, 탄핵 공세 등 여당에 불리한 지형 한계를 끝내 극복하지 못했다.
결국 3년 만에 지위를 잃게 된 여권이 추후 1호 당원인 윤 전 대통령과 관계 설정을 어떻게 이어갈 지에도 관심이 집중된다.
탄핵 인용 직후 윤 전 대통령의 탈당 또는 출당 목소리가 나올 것이라는 예측도 나오지만 당분간은 이 같은 주장은 나오지 않을 것이라는 게 현재까지 당 내부의 주된 분위기다. 중도나 무당층의 유인 효과가 크지 않은 상황에서 윤 전 대통령이 탈당할 경우 핵심 지지층마저 이탈할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아울러 윤 전 대통령 탈당이 중도층에게는 일종의 '정치적 쇼'로도 비춰질 수 있어 표심 공략 효과에 별 효과가 없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다만 윤 전 대통령의 행보와 내란죄 혐의 형사재판 진행 상황에 따라 당내에서 탈당·출당에 중지를 모을 가능성도 나온다.
앞서 박 전 대통령의 경우에도 2017년 3월 파면 직후 당시 자유한국당 '인명진 비대위' 체제에서 인위적 징계는 하지 않겠다고 선을 그었지만 대선 후 5개월이 지나자 당 윤리위원회가 '탈당 권유' 징계를 결정하고, 당시 홍준표 대표가 박 전 대통령을 직권으로 제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앞치마 두른 'BTS 진', 산불피해지역 안동 길안면서 급식 봉사
"헌재 결정 승복 입장 변함없나" 묻자…이재명이 한 말
헌재 전원일치로 윤석열 대통령 파면 [전문]
윤 전 대통령 "사랑하는 국민 여러분, 기대 부응 못해 안타깝고 죄송"
조기대선 일정은? 사전투표 5월 29~30일, 본투표 6월 3일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