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교육청, 독도의용수비대 정원도 대원 97세 생일 축하 방문

입력 2025-04-03 13:42:58 수정 2025-04-03 18:11:32

독도의용수비대 33명 중 유일한 생존자

울릉교육지원청은 1일 올해 97세를 맞는 독도의용수비대 정원도 대원 자택을 방문해 축하했다. 좌측부터 이동신 교육장, 정원도 대원, 이병용 독도위용수비대국장, 김명철 울릉교육지원청 직원. 울릉교육지원청 제공
울릉교육지원청은 1일 올해 97세를 맞는 독도의용수비대 정원도 대원 자택을 방문해 축하했다. 좌측부터 이동신 교육장, 정원도 대원, 이병용 독도위용수비대국장, 김명철 울릉교육지원청 직원. 울릉교육지원청 제공
울릉교육지원청은 1일 올해 97세를 맞는 독도의용수비대 정원도 대원 자택을 방문해 축하했다. 울릉교육지원청 제공
울릉교육지원청은 1일 올해 97세를 맞는 독도의용수비대 정원도 대원 자택을 방문해 축하했다. 울릉교육지원청 제공

"울릉도 출신으로 나라사랑 정신을 실천하신 정원도 어르신께 존경과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울릉교육지원청은 국가가 혼란한 시기 독도에 기거하며 일본에 맞서 독도를 지킨 독도의용수비대 마지막 생존 대원의 찾아 헌신과 희생을 기억하는 시간을 가졌다고 3일 밝혔다.

울릉교육지원청은 지난 1일 독도의용수비대 33인 중 마지막 생존자인 정원도 대원의 자택을 찾아 올해 97세를 맞은 생일을 축하했다.

독도의용수비대는 6·25 전쟁 등 국가가 혼란한 시기를 틈타 독도에 대한 일본의 불법 침탈 행위가 기승을 부리자 1954년 홍순칠 대장을 비롯한 33명의 울릉도 청년들이 결성한 순수 민간 조직이다. 이들은 일본의 독도 접근을 차단하면서 일본 영토 표지를 철거하고, 총격전을 벌이는 등의 활동을 하며 독도를 지켰다.

정원도 대원은 1929년생으로 올해 97세로 독도의용수비대원 중 유일한 생존자다. 당시 독도에서 활약했던 생생한 기억을 가지고 있으며 그 공로를 인정받아 1996년 보국훈장 광복장을 받았다.

이동신 교육장은 "지역 출신으로 나라사랑 정신을 실천하신 정원도 어르신께 존경과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학생들에게 독도 수호 의지와 나라 사랑하는 마음을 심어주기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또 "정원도 대원은 대한민국의 영토주권을 지키기 위해 목숨을 걸고 독도를 지키신 분"이라며 "그의 헌신과 희생을 기억하고, 학생들에게 독도 수호 의지와 나라 사랑하는 마음을 심어주기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