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문 인식 정확도 99% 이상… 귀표 관리 한계 극복 기대
AI 기술 활용, 한우 개체관리 효율성 및 국제 표준화 추진
경상북도축산기술연구소는 6일 연구소 회의실에서 'AI 생체인식 개체인증 기술 연구 성과 보고회'를 가졌다.
이날 보고회에는 농림축산식품부, 축산물품질평가원, 농업정책보험금융원, 농협손해보험, 한국농어업재해보험협회, ㈜아이싸이랩 등 관계 기관이 참석해 그간의 연구성과를 공유하고, 현장 적용 가능성 등에 대해 논의했다.
이들은 현재 귀표로 관리하는 한우 개체관리 방식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인공지능 기분 소 생체정보 인식 기술을 활용한 개체인증 방식으로 변경 및 보완하는 방안에 대해 제시했다.
연구진은 2년간의 연구를 통해 한우의 비문 패턴이 사람의 지문처럼 개체마다 고유하며, 출생 직후부터 성체(18개월)까지 변함없이 유지된다는 점을 확인했다. 또 상처가 나더라도 회복 후 원래의 패턴이 복구됨은 물론 나이와 관계없이 일관된 인식이 가능하다는 것으로 확인하고 AI 생체인식 개체인증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진이 개발한 이 기술은 99% 이상의 높은 인증 정확도를 보인다. 이를 기반으로 국제 표준화와 한술 논문 출판 등을 추진 중이다.
경북축산기술연구소는 이번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스마트 축산업을 촉진하고 한우 산업의 경쟁력을 높일 계획이다.
이재식 경북도 출산기술연구소장은 "AI 생체인식 기술을 활용하면 축산물 이력제의 개체관리 방식을 개선할 수 있으며, 최근 논란이 된 가축재해보험 가입 한우의 귀표 변경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며 "우수한 혈통의 안전한 보급을 촉진하는 데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TK지지율 김문수 53.1% 이재명 30.9% 이준석 7.0%
이재명 당선 뒤 유죄면 직무정지? 헌법학자 10인 대답은
김문수 "尹계엄권 발동 부적절…진심으로 사과"
"이준석 싫어요" 67%…비호감 대선후보 1위
'이재명 정부 홍준표 국무총리설' 제기…李·洪은 "사실 무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