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의대생의 3월 전원 복귀를 전제로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을 증원 이전 수준으로 돌리겠다고 발표하자 의대생단체는 "협박"이라며 냉담한 반응을 보였다.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는 7일 교육부의 '의대생 복귀 및 의대 정상화 방안' 브리핑 이후 이 같은 입장을 냈다.
의대협은 "각 대학 총장은 '2026학년도 모집인원 3천58명'을 발표함으로써 증원분에 대한 교육이 불가능함을 인정했으면서도 교육부 장관 이주호처럼 학생들이 안 돌아오면 (2천명 증원된) 5천58명을 뽑겠다고 협박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교육자 입으로 '일부러 교육을 더 못 받게 하겠다'고 학생을 협박할 것이라면 교육과 학생을 위한다는 말을 다시는 하지 말아라"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교육부가 내놓은 24·25학번 교육 운영 방안에 관해선 "5.5년제 역시 24·25학번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며 "언젠가는 동시에 본과 임상 수업, 병원 실습을 해야 하는데 학교에 교육 여건이 마련되어 있나. 졸업 후 동시에 전공의 수련을 받아야 하는데 제대로 된 수련은 가능한가"라고 반문했다.
의대협은 그러면서 "학생들이 요구한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철회와 붕괴된 의료전달체계의 확립, 24, 25학번 교육 파행에 대한 해결 등 그 무엇도 해결되지 않았다"고 일축했다.
대한의사협회도 입장문에서 "정부의 의대정원 증원 정책은 실패한 정책"이라며 "이 부당한 정책에 결정적 역할을 한 인사에 대해 문책이 동반된 사과를 요구한다"고 밝혔다.
또 정부가 오늘 발표한 의대 교육 정상화 대책에 대해서도 "의대국까지 신설하며 24학번과 25학번의 교육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고 했지만 결국 각 의과대학에 맡겨 놓은 형국"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지금 제시된 내용으로는 교육이 불가능할 것이라는 기존 입장은 변화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앞서 교육부는 의대학장 협의체인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의대협회·KAMC)가 제안한 네 가지 시나리오를 이날 공개했다.
이 가운데 세 개의 시나리오는 24학번의 교육과정을 압축 운영해 25학번보다 한 학기 먼저 졸업시키는 방안이 담겼다. 나머지 하나는 24·25학번을 동시에 교육한다는 시나리오다.
댓글 많은 뉴스
'尹파면' 선고 후 퇴임한 문형배 "헌재 결정 존중해야"
안 "탈당해야" 김·홍 "도리아냐"…국힘 잠룡들 尹心 경계 짙어질까
이재명 "대구·경북의 아들 이재명, TK 재도약 이끌겠다"
전한길 "사전투표 규칙 개정해야…제2의 홍콩·베네수엘라로 몰락할 수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