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귀해야 3천58명 모집' 의대생단체 "교육자가 학생 협박"

입력 2025-03-07 21:24:49 수정 2025-03-08 05:18:04

20일 서울 한 의과대학 졸업식에 한두명의 졸업생만 참석하고 있다. 한편 의대생 집단 휴학으로 졸업생을 배출하지 못한 의대에서는 전기 학위수여식을 취소하고 있다. 연합뉴스
20일 서울 한 의과대학 졸업식에 한두명의 졸업생만 참석하고 있다. 한편 의대생 집단 휴학으로 졸업생을 배출하지 못한 의대에서는 전기 학위수여식을 취소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의대생의 3월 전원 복귀를 전제로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을 증원 이전 수준으로 돌리겠다고 발표하자 의대생단체는 "협박"이라며 냉담한 반응을 보였다.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는 7일 교육부의 '의대생 복귀 및 의대 정상화 방안' 브리핑 이후 이 같은 입장을 냈다.

의대협은 "각 대학 총장은 '2026학년도 모집인원 3천58명'을 발표함으로써 증원분에 대한 교육이 불가능함을 인정했으면서도 교육부 장관 이주호처럼 학생들이 안 돌아오면 (2천명 증원된) 5천58명을 뽑겠다고 협박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교육자 입으로 '일부러 교육을 더 못 받게 하겠다'고 학생을 협박할 것이라면 교육과 학생을 위한다는 말을 다시는 하지 말아라"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교육부가 내놓은 24·25학번 교육 운영 방안에 관해선 "5.5년제 역시 24·25학번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며 "언젠가는 동시에 본과 임상 수업, 병원 실습을 해야 하는데 학교에 교육 여건이 마련되어 있나. 졸업 후 동시에 전공의 수련을 받아야 하는데 제대로 된 수련은 가능한가"라고 반문했다.

의대협은 그러면서 "학생들이 요구한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철회와 붕괴된 의료전달체계의 확립, 24, 25학번 교육 파행에 대한 해결 등 그 무엇도 해결되지 않았다"고 일축했다.

대한의사협회도 입장문에서 "정부의 의대정원 증원 정책은 실패한 정책"이라며 "이 부당한 정책에 결정적 역할을 한 인사에 대해 문책이 동반된 사과를 요구한다"고 밝혔다.

또 정부가 오늘 발표한 의대 교육 정상화 대책에 대해서도 "의대국까지 신설하며 24학번과 25학번의 교육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고 했지만 결국 각 의과대학에 맡겨 놓은 형국"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지금 제시된 내용으로는 교육이 불가능할 것이라는 기존 입장은 변화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앞서 교육부는 의대학장 협의체인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의대협회·KAMC)가 제안한 네 가지 시나리오를 이날 공개했다.

이 가운데 세 개의 시나리오는 24학번의 교육과정을 압축 운영해 25학번보다 한 학기 먼저 졸업시키는 방안이 담겼다. 나머지 하나는 24·25학번을 동시에 교육한다는 시나리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