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계 "현실적 최선까지는 왔지만 설득 나서긴 조심스러워"

입력 2025-03-07 17:43:15

의협 "부당한 정책 만든 인사에 대해 문책 동반한 사과 요구"

6일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학교 의대생 전용 기숙사 제중학사 로비에 학생 짐이 놓여 있다. 연합뉴스
6일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학교 의대생 전용 기숙사 제중학사 로비에 학생 짐이 놓여 있다. 연합뉴스

의대 정원을 증원 이전으로 돌리겠다는 교육부의 발표에 의료계는 반기면서도 걱정의 목소리를 함께 냈다. 분명 정부가 의료계의 목소리를 반영한 건 맞지만 학생들을 설득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함께 나왔다.

먼저 의사들의 법정단체인 대한의사협회(의협)는 부정적 입장을 표명했다. 의협은 7일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의 브리핑 이후 보도자료를 통해 "정부는 의대국까지 신설하면서 의대 교육에 대하여 자신 있게 대안을 제시할 수 있다고 했으나 오늘의 발표를 보면 결국 각 의과대학에 교육의 내용을 맡겨 놓은 형국임을 알 수 있다"며 "의협은 정부의 그동안의 발언이 공허했음을, 그리고 그 무능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뒤이어 "지금 제시된 내용으로는 교육이 불가능할 것이라는 의협의 기존 입장은 변화되기 어렵다"며 정부의 발표가 의대생을 설득하기에 부족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정부에게는 "이 순간까지도 근거 없는 정책 결정의 부당함과 부적절함을 사과하지 않는 것에 대한 실망을 표하지 않을 수 없다"며 "이 부당한 정책에 결정적 역할을 한 인사에 대해 문책이 동반된 사과를 요구한다"고 밝혔다.

이진우 한국의학교육협의회장 겸 대한의학회장은 현실적인 측면에서 일단 해결을 위한 논의가 나아가는 것을 긍정적으로 봤다.

이 회장은 "최선이 아닌 차선일 수밖에 없지만, 이대로 두면 올해도 5천58명으로 진행될 수밖에 없지 않느냐"며 "학생들도 이런 상황과 본인의 미래 등을 생각해보면 좋겠다"고 말했다.

한편으로는 의대생의 복귀가 시급하지만 선배 의사들이 이를 설득할 명분이나 자격이 충분한지에 대해서 고민하는 의견도 있다.

대구 시내 한 개원의는 "의대생과 전공의의 요구가 100% 관철된 건 아니다보니 선배로써 '이제는 돌아가라'고 적극적으로 나서기가 쉽지 않다는 게 개원의들의 전반적인 분위기"라며 "분명 긍정적인 변화는 맞으나 학생들의 결정이 매우 중요하기에 의협이나 선배 의사들이 나서서 '무조건 돌아가라' 말하기도 어렵다는 게 문제"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