쏟아진 탄핵안 처리하다 정치 편향 등 논란 중심에
중도 성향 헌재관 결심에 영향 관측도
윤석열 대통령의 '개헌안' 카드가 계속 거론되는 배경에는 극심해진 갈등을 넘어 새로운 나라로 나아갈 대안적 메시지가 간절하다는 점이 우선 꼽힌다. 윤 대통령이 탄핵 변론에서 펼친 주장과 의견을 종합하는 선에서 그치는 게 아니라 국민 통합을 위한 아젠더를 제시하며 기득권에 연연하지 않는다는 모습까지 보여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여야 정치권의 국한 갈등, 이에 따라 쏟아진 탄핵안 등 현 상황의 부작용을 최일선에서 목도해온 헌법재판소 재판관들 역시 개헌론에 공감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는 분석도 나온다.
24일 정치권 등에 따르면 헌법재판소는 25일 오후 2시 최종 11차 변론을 열고 국회 측과 윤 대통령 측에 종합 변론 시간을 부여한다. 초미의 관심은 윤 대통령 육성에 집중된다. 노무현·박근혜 전 대통령은 탄핵 소추됐을 당시 직접 출석하지 않은 탓에 윤 대통령이 최종 진술에 나서면 헌정 사상 첫 현직 대통령의 사례가 된다.
여권 한 관계자는 "탄핵 심판 기각을 전제로, 윤 대통령 자신은 정말 잘못한 것은 없으나 그간 벌어진 나라의 극심한 분란을 종식시키고, 나라를 안정시키겠다는 의지를 자신의 기득권을 전혀 고집하지 않는 개헌으로 표명할 수 있을 것"이라고 관측했다.
이는 헌법재판소를 향한 강한 메시지가 될 수도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헌재 내부 정치적 성향에 따라 탄핵 인용와 기각 입장이 갈릴 수 있는 여건에서 중도 성향 재판관 1명만 이탈해도 탄핵은 기각될 수 있다.
법조계 한 관계자는 "헌재 판결에 여론의 영향이 크게 미친다는 것은 이미 상식이다. 탄핵 찬반 지지율 격차가 크지 않아 헌재관들의 고민이 깊을 수밖에 없다"며 "개헌 등 윤 대통령의 이날 제언에 따라 기각 선고의 부담을 덜 수 있다"고 전망했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와 달리 여론이 압도적으로 탄핵 찬성에 쏠리고 있지 않아 윤 대통령 탄핵 심판에 대해 헌재관들이 느끼는 심적 부담이 상당할 것이라는 게 법조계의 관측이다. 의회 권력의 독주와 잇따른 탄핵 심판 사건 심리로 논란의 한 복판에 선 현실에서 헌재 역시 개헌 담론에 공감할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한편 윤 대통령은 개헌안 카드 이외에도 2030 등 최근 자신에게 전폭적 동의를 보내고 있는 지지층에 대한 메시지와 함께 일반 여론이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는 야당의 무차별 탄핵 소추 및 예산 삭감의 폐해 등에 대해서도 상세히 밝힐 것으로 보인다. 계엄 사태 과정에서 대통령으로서 행사한 통치 행위의 정당성은 물론, 합법성에 대해서도 설명의 의무를 게을리하지 않을 것이란 게 정치권의 관측이다.
댓글 많은 뉴스
홍준표 "조기 대선 시 시장직 사퇴…내가 집권하면 TK현안 모두 해결"
전국 곳곳 이어지는 '탄핵 반대' 목소리… 이번엔 대전서 '윤 탄핵 반대' 세력 집결
'탄핵 반대' 대전 집회, 30만명 예상…매일신문 전한길 강사 연설 등 현장 생중계
[단독] 국가보안법 전과자, 국회에 몇 명이나 있을까?
신평 "한동훈, 키워준 尹 배신…탄핵소추·구속 방아쇠 당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