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억 PF대출·체력단련비 지급 놓고 법적 대응 예고와 반박 이어져
"부실경영 책임 물어야" vs "선거 겨냥한 음해성 공격"
다음달 5일 구미 중앙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를 앞두고 전·현직 임원들 간 공방이 과열되고 있다. 현 임원진은 전 이사장의 부실경영 책임을 물어 법적 대응을 예고했고, 전 임원진은 "선거를 겨냥한 음해성 공격"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24일 매일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가장 큰 쟁점은 2020년 7월에 실행된 40억 원 규모의 PF대출이다. 현 임원진은 "전 이사장이 울산 소재 건물에 대한 PF대출을 제대로 된 검증 없이 진행했고, 현재까지 사업 진척이 없다"며 업무상 배임 혐의를 제기했다.
이에 대해 전 임원진은 "현 이사장도 2023년 6월 만기연장과 이자상환유예에 동의했는데도 전임자 탓만 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또 "이 사안은 실무책임자 A씨 퇴직 후에 발생했으며, 일시적 이자 연체일 뿐 부실이 아니다"고 주장했다.
체력단련비 조기지급과 명예퇴직자 포상금 지급을 둘러싼 논란도 이어지고 있다. 현 임원진은 A씨에게 체력단련비 368만원을 조기 지급하고, 규정에 없는 명예퇴직 포상금으로 금 10돈(288만원 상당)을 지급한 것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전 임원진은 "코로나19 상황에서 직원 사기진작을 위해 50일 조기 지급했고, 자체감사 지적 후 해당 금액을 모두 반환했다"고 설명했다. 포상금 역시 "36년간 근무한 A씨 공로를 인정한 것이며, 이사장 전결 범위 내 금액"이라고 해명했다.
채권 회수 특혜 의혹을 둘러싼 공방도 벌어지고 있다. 이 금고는 2002년 5월 전 감사였던 B씨 가족에게 3천만원을 대출해 줬지만 회수불능 상태에 빠졌다. 14년이 지난 2016년 9월에야 채무보증인을 상대로 지급명령을 받아냈다.
현 임원진은 "매월 10만원씩만 변제받기로 하는 특혜를 줬고, 이마저도 제대로 이행되지 않아 현재 채권액이 6천278만원으로 늘었다"고 주장했다. 반면 전 임원진은 "채무자가 개인회생 신청자로, 이사회 결정을 거쳐 적법하게 처리했다"며 "연대보증인들이 매월 조금씩이라도 상환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이번 선거가 과열되면서 금고 이미지가 실추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대의원들 사이에서는 "금고 발전을 위해 깨끗한 선거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새마을금고중앙회 관계자는 "선거 시점에서 양측이 싸우고 있는 상황이라 선거에 개입하는 모양새를 보일 수 없다"며 "선거 이후 정기검사를 통해 최종적인 결정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전국 곳곳 이어지는 '탄핵 반대' 목소리… 이번엔 대전서 '윤 탄핵 반대' 세력 집결
홍준표 "조기 대선 시 시장직 사퇴…내가 집권하면 TK현안 모두 해결"
'탄핵 반대' 대전 집회, 30만명 예상…매일신문 전한길 강사 연설 등 현장 생중계
[단독] 국가보안법 전과자, 국회에 몇 명이나 있을까?
신평 "한동훈, 키워준 尹 배신…탄핵소추·구속 방아쇠 당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