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 중앙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 '과열'…전·현직 임원 진실공방

입력 2025-02-24 16:54:17 수정 2025-02-24 17:17:33

40억 PF대출·체력단련비 지급 놓고 법적 대응 예고와 반박 이어져
"부실경영 책임 물어야" vs "선거 겨냥한 음해성 공격"

MG새마을금고 CI. 새마을금고 제공
MG새마을금고 CI. 새마을금고 제공

다음달 5일 구미 중앙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를 앞두고 전·현직 임원들 간 공방이 과열되고 있다. 현 임원진은 전 이사장의 부실경영 책임을 물어 법적 대응을 예고했고, 전 임원진은 "선거를 겨냥한 음해성 공격"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24일 매일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가장 큰 쟁점은 2020년 7월에 실행된 40억 원 규모의 PF대출이다. 현 임원진은 "전 이사장이 울산 소재 건물에 대한 PF대출을 제대로 된 검증 없이 진행했고, 현재까지 사업 진척이 없다"며 업무상 배임 혐의를 제기했다.

이에 대해 전 임원진은 "현 이사장도 2023년 6월 만기연장과 이자상환유예에 동의했는데도 전임자 탓만 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또 "이 사안은 실무책임자 A씨 퇴직 후에 발생했으며, 일시적 이자 연체일 뿐 부실이 아니다"고 주장했다.

체력단련비 조기지급과 명예퇴직자 포상금 지급을 둘러싼 논란도 이어지고 있다. 현 임원진은 A씨에게 체력단련비 368만원을 조기 지급하고, 규정에 없는 명예퇴직 포상금으로 금 10돈(288만원 상당)을 지급한 것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전 임원진은 "코로나19 상황에서 직원 사기진작을 위해 50일 조기 지급했고, 자체감사 지적 후 해당 금액을 모두 반환했다"고 설명했다. 포상금 역시 "36년간 근무한 A씨 공로를 인정한 것이며, 이사장 전결 범위 내 금액"이라고 해명했다.

채권 회수 특혜 의혹을 둘러싼 공방도 벌어지고 있다. 이 금고는 2002년 5월 전 감사였던 B씨 가족에게 3천만원을 대출해 줬지만 회수불능 상태에 빠졌다. 14년이 지난 2016년 9월에야 채무보증인을 상대로 지급명령을 받아냈다.

현 임원진은 "매월 10만원씩만 변제받기로 하는 특혜를 줬고, 이마저도 제대로 이행되지 않아 현재 채권액이 6천278만원으로 늘었다"고 주장했다. 반면 전 임원진은 "채무자가 개인회생 신청자로, 이사회 결정을 거쳐 적법하게 처리했다"며 "연대보증인들이 매월 조금씩이라도 상환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이번 선거가 과열되면서 금고 이미지가 실추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대의원들 사이에서는 "금고 발전을 위해 깨끗한 선거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새마을금고중앙회 관계자는 "선거 시점에서 양측이 싸우고 있는 상황이라 선거에 개입하는 모양새를 보일 수 없다"며 "선거 이후 정기검사를 통해 최종적인 결정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