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탄핵 심판 일정은?…여야 조기 대선 대비 물밑 작업 박차

입력 2025-02-23 16:08:42 수정 2025-02-23 20:04:19

파면 인용 후 60일 내 대선 실시로 일정 촉박, 국민의힘 유력대권주자 대상 컷오프 후 경선 실시 검토
민주당 '경선 30일 + 본선 30일' 일정 검토, 이재명 대표 실무형 캠프에 힘 실어

윤석열 대통령이 11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본인의 탄핵심판 7차 변론에 피청구인으로 출석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11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본인의 탄핵심판 7차 변론에 피청구인으로 출석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이 마무리 수순을 밟는 가운데 여야는 탄핵소추안 인용 시에 대비한 준비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현직 대통령에 대한 파면이 결정되면 헌법에 따라 60일 이내에 새 대통령을 선출해야 하기 때문에 관련 일정이 빠듯해지기 때문이다.

헌재는 25일 탄핵심판 피청구인인 윤 대통령의 최종 의견을 듣고 변론을 끝내기로 했다. 앞선 노무현·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 변론 종결 이후 2주 이내 최종 결정이 나온 점을 고려하면 윤 대통령 선고 시점은 3월 초·중순으로 예상된다.

통상 주요 정당들이 대통령 선거를 5개월 이상 앞두고 공식적인 대선 레이스를 시작하고 당내 경선에만 60일 정도를 할애하는 점을 고려하면 상당히 촉박한 일정이다.

이에 여야 모두 탄핵안이 인용되는 즉시 당내 선거관리위원회를 띄우고, 예비 대선 후보 등록을 접수하는 등 가능한 한 신속하게 당내 경선 과정을 밟을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은 당 안팎에서 거론되는 대권주자들이 많기 때문에 '컷오프' 과정을 거쳐 후보를 좁힌 뒤 최종 경선을 치르겠다는 구상이다.

다만 컷오프와 경선 규정을 두고 각 후보들 사이의 신경전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민의힘에서는 판세가 만만치 않다고 보고 대선 40일 전에는 후보를 확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더불어민주당은 내부적으로 '30일(경선)+30일(본선)' 일정을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2017년 대선 때와 마찬가지로 전국 4개 권역(수도권·충청·호남·영남)을 돌면서 선거인단 투표를 진행할 예정이라 아무리 절차를 압축해도 경선에 30일은 소요될 것으로 보고 있다.

가장 유력한 대선주자인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최근 주말 회의를 열어 '실무형' 측근 인사들로 선거캠프를 구성하는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