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北 완전한 비핵화 목표…대북정책 긴밀히 공조"

입력 2025-02-15 22:01:02 수정 2025-02-16 06:48:04

한미동맹과 북핵 문제, 한미일 협력, 경제협력 등 논의
"미국 측이 한국 입장 경청하면서 잘 받아적어"

한미 외교장관회담. 외교부 제공, 연합뉴스.
한미 외교장관회담. 외교부 제공,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들어선 후 한국과 미국의 외교수장이 처음으로 만나 동맹 강화와 대북 공조에 뜻을 모았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과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은 15일(현지시간) 뮌헨안보회의(MSC)가 열리는 독일 뮌헨의 바이어리셔호프 호텔에서 40분간 회담을 갖고, ▷한미동맹과 북핵 문제 ▷한미일 협력 ▷경제 협력 등 현안을 두루 논의했다.

외교부에 따르면, 양 장관은 우선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목표를 견지하면서 향후 대북정책 수립·이행 과정에서 긴밀히 공조해 나가기로 했다. 회담에 배석한 외교부 당국자는 "북핵문제에 대해 많이 논의했다"며 "(미국측이) 완전한 비핵화와 한국과의 긴밀한 협의를 약속했다"고 밝혔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대북 정책을 짜고, 북미 대화를 시도하는 국면에서 한국과 머리를 맞대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을 패싱하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거래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불식될지 주목된다.

양 장관은 또 북한군 파병을 포함해 북러간 군사협력 관련 우려를 공유하고, 계속 예의주시하며 공조하기로 했다.

트럼프 정부가 대미 무역흑자국 등을 상대로 몰아붙이고 있는 관세 부과 문제도 거론됐다.

조 장관은 관세 적용 문제에 대해서는 한미간 긴밀한 협의에 의한 해결 의지를 밝히고, 상호 이익이 되는 해법을 모색하자고 당부했다. 이에 루비오 장관은 "(담당 부처에) 잘 전달하겠다"며 관계부처간 협의하자는 뜻을 전달했다고 한다.

이와 관련해 외교부 당국자는 "(관세 문제는) 미측도 현재 시작하고 검토하는 단계"라며 "(한미간) 계속 협의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동맹 분담 확대'를 외치고 있는 가운데, 조 장관은 이에 맞춰 한국의 대미 기여도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조 장관은 미래 번영을 위해 그간 한국이 주도해 온 대미 투자 성과를 설명하고 미국 측의 협력을 당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번 회담은 한국이 탄핵정국으로 정상외교가 실종된 상황에서 미국 새 정부의 외교·안보·무역 등 대외정책 구상을 듣고 우리의 입장을 설명할 기회가 된 것으로 평가된다.

외교부 당국자는 회담 분위기에 대해 "(미측이 한국 입장을) 경청하면서 잘 받아적고 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