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 함께 맞서자"… 시진핑·푸틴·모디·룰라 공동전선

입력 2025-08-07 16:38:14 수정 2025-08-07 18:16:07

룰라 브라질 대통령 "브릭스 정상들과 논의"
모디 인도 총리, 7년만에 방중 협력 모색
푸틴·시진핑, 트럼프 위협 대응 '마이웨이'

브릭스 정상회의 참석한 모디 인도 총리, 푸틴 러시아 대통령,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연합뉴스
브릭스 정상회의 참석한 모디 인도 총리, 푸틴 러시아 대통령,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위협에 맞서 중국, 러시아, 인도, 브라질 등 브릭스(BRICS) 국가들이 연대를 모색하고 있다. 이들 국가들은 우크라이나 종전, 러시아산 원유 수입 등 문제로 미국의 제재나 관세 폭탄을 맞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주요 교역상대국들을 상대로 무역 협상을 벌이면서 "브릭스의 반미정책을 따르는 국가들은 추가 10% 관세를 부과받을 것"이라고 엄포를 놓기도 했다.

◆인도 총리, 앙숙 관계 中 방문 추진

인도는 러시아산 원유 수입 문제로 곤혹을 치르고 있다. 인도는 러시아에서 원유 38%를 수입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6일(이하 현지시간) 인도가 러시아산 원유를 직·간접 수입하는 데 대응해 오는 21일부터 인도산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로써 인도는 7일부터 부과되는 25%의 상호관세를 더하면 무려 50%의 관세 폭탄을 맞게 된다.

이에 맞서 인도는 앙숙 관계인 중국과 협력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나렌드라 모디 총리가 7년 만에 오는 31일 개막하는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에 참석할 예정이다. 모디 총리가 중국을 마지막 방문한 것은 2018년이다.

그러나 양국 관계는 5년 전 국경 충돌로 인해 악화했다. 2020년 국경 분쟁지인 인도 북부 라다크에서 양국 군대가 유혈 충돌해 양국 군인 수십명이 숨졌다.

인도는 냉전 시대부터 긴밀한 외교 관계를 유지한 러시아와도 국방 분야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아지트 도발 인도 국가안보보좌관은 전날 국방·안보 분야의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러시아 모스크바를 찾았다.

룰라 브라질 대통령 [AFP 연합뉴스]
룰라 브라질 대통령 [AFP 연합뉴스]

◆50% 관세 브라질, 美 WTO 제소

브라질은 미국으로부터 50% 관세 폭탄을 맞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브라질에 대한 관세를 10%에서 50%로 끌어올리는 행정명령에 지난달 30일 서명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같은 달 9일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브라질 대통령에게 보내는 이른바 '관세 서한'에서 자이르 보우소나루 전 대통령이 쿠데타 모의 혐의 등으로 재판을 받는 것을 "국제적인 불명예", "마녀사냥" 등으로 표현하며 50%의 관세를 8월 1일부터 부과하겠다고 예고한 바 있다.

이에 브라질은 브릭스 국가들과 활로를 찾고 있다. 룰라 브라질 대통령은 6일 로이터 통신과 인터뷰에서 관세에 대한 공동 대응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 브릭스 정상들과 논의할 예정이라면서 "중국과 인도에 먼저 연락을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브라질은 6일(현지시간) 고율 관세를 부과한 미국을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했다. 브라질 정부는 이날 관보(Diario Oficial da Uniao)를 통해 "WTO 틀 안에서 관세와 관련한 공식 협의 개시를 요청하는 공문을 도널드 트럼프 미정부에 보냈다"고 했다.

◆중국·러시아 "브릭스와 협력"

중국과 러시아는 브릭스와 함께한다는 입장이다. 미국은 러시아에 대해서 종전 문제와 관련해 관세 위협을 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초 제시했던 휴전 시한을 '50일 이내'에서 '10일내 휴전'으로 단축해 8일까지 전쟁을 끝내지 않으면 러시아는 물론 러시아와 거래하는 국가에 대해 2차관세를 부과하겠다며 압박하고 있다. 하지만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꿈쩍도 하지 않고 브릭스 국가들과 연대를 강조하고 있다.

미국과 중국은 오는 11일 관세 휴전 시한 종료를 앞두고 지난달 28~29일 고위급 협상을 통해 추가로 90일간 관세휴전을 추진하기로 했다. 러시아산 에너지 대규모 수입국인 중국에 2차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도 열어놓은 상태다. 하지만 중국은 러시아 원유 구매를 중단하지 않겠다는 반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