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반도체 관세 부과 예고에 업계 초비상
수출 의존도 높은 구미 기업들 "이중고 우려"
"미국도 자충수" 전망에도 현실화 시 타격 불가피
구미 반도체 기업들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고율 관세 부과 발언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트럼프는 10일(현지 시각) 미국으로 수입되는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25%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발표하면서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에 대한 관세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관세 부과가 현실화되면 구미국가산업단지는 직격탄이 불가피하다. 반도체 소재부품 특화단지로 지정된 구미에는 SK실트론과 LG이노텍을 비롯해 300여개의 반도체 관련 기업이 밀집해 있다. 특히 원익큐엔씨 등 구미 소재부품 기업들은 내수보다 수출 비중이 훨씬 높아 타격이 예상된다.
최근 구미상공회의소가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지역 제조업체의 34.3%가 트럼프의 통상정책을 최대 리스크로 꼽았다. 한 반도체 기업 관계자는 "25%의 관세만 부과돼도 수출 가격 경쟁력이 급락할 것"이라며 "최대 100%까지 관세가 부과되면 미국 수출길이 막힐 수 있다"고 우려했다.
특히 반도체 기업들은 이미 미중 무역전쟁으로 중국 수출이 위축된 상황이다. 여기에 미국발 관세폭탄까지 터지면 이중고를 피할 수 없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구미 반도체 장비업체 대표는 "중국과 미국이 우리 기업의 주력 수출시장인데 양쪽 모두에서 관세 장벽이 생기면 대체 시장을 찾기도 쉽지 않을 것"이라고 토로했다.
반도체 업계는 관세 부과가 현실화될 경우 구미 지역 일자리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한 중소기업 대표는 "수출이 막히면 가동률이 떨어질 수밖에 없고 그렇게 되면 고용 조정이 불가피하다"며 "구미 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고율 관세 부과 가능성이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한국은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며 "관세를 부과하면 미국 기업의 반도체 조달 단가가 상승해 오히려 미국이 더 큰 피해를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현권 구미반도체특화단지추진단장은 "미국이 초기에는 전반적인 관세 부과를 언급하더라도 추후 예외조항이나 유예기간 등을 통해 실제 시행은 다르게 될 가능성도 있다"면서도 "현실화될 경우 구미 반도체 산업 전반에 타격이 불가피하다"고 우려했다.
한편 구미시는 위기를 기회로 삼아 반도체 산업 경쟁력 강화에 나섰다. 현재 9천200억원 규모의 첨단반도체 소재·부품 콤플렉스 구축을 추진 중이다. 여기에는 반도체 소재·부품 시험평가센터와 연구개발(R&D) 시설이 들어설 예정이다.
김장호 구미시장은 "반도체 소재·부품 시험평가센터 구축과 함께 기업 지원 프로그램을 확대해 기업들의 경쟁력을 높여나갈 계획"이라며 "위기 상황에 대비한 종합 대책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尹 탄핵 반대" 대구 집회 다음은 광주…여당 "언론, 최대 인파 대구 집회 외면해"
무너진 법과 상식, 국가 리더십 실종…국민들 광장으로 쏟아졌다
이재명 "尹 친위군사쿠데타·주4일제·국민소환제·30조원 추경" [전문]
'尹 검찰총장 후회' 文 고백에…김동연 "마음 아파"
2030 동대구역 모인 이유는…"尹 석방·자유민주주의 수호"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