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2025년 정부업무보고 대응 전략회의' 개최···민생안정, 문화융성, 과학기술 등 중점 논의

입력 2025-02-04 17:17:22 수정 2025-02-04 19:24:47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4일 오전 도청 원융실에서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4일 오전 도청 원융실에서 '2025년 정부 업무보고 대응 전략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경북도 제공.

'문화융성'과 '과학기술 산업 육성'을 을사년(乙巳年) 도정 운영 방향타로 설정한 경상북도가 각 분야별 핵심 전략을 본격 추진한다.

경북도는 4일 도청에서 실·국 간부들이 참석한 가운데 '2025년 정부 업무보고 대응 전략회의'를 열고 정부 정책 방향과 관련해 각 분야별 핵심 과제들을 중점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선 ▷지방정부 중심 민생안정 특별대책 점검 ▷문화융성과 과학기술산업 육성 전략 구체화 등을 논의했다. 이와 함께 도가 그동안 역점적으로 추진한 저출생 극복, 농업 대전환 등 정책을 연속적으로 추진하는 방안 등도 살펴봤다. 저출생 극복과 농업대전환 등 경북의 혁신 정책들은 (가칭)인구전략대응기획부 신설과 농업혁신타운 전국 확산 등 국가 시책으로 채택되는 등 그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도는 민생안정을 위해 경북형 주민대피시스템(K-마 어서대피) 고도화, 지역현장 역량 제고, 소상공인·소기업 지원을 위한 서민금융복지팀 신설, 소상공인 카드수수료 지원 등 대책을 추진한다.

문화 융성을 위해선 대한민국 문화도시(안동), K관광섬(울릉), 호미반도 생태공원 등 대규 개발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한편, 지역활성화 투자펀드를 활용한 호텔·리조트 건립 프로젝트와 복합 해양레저 관광도시 개발 등 관광거점 조성 사업을 확대한다.

경주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와 연계해 신라·가야·유교 등 전통문화를 활용한 각종 문화행사도 개최한다.

한복·한글 등 5한(韓) 콘텐츠와 관련한 전통문화 기업·인력 등을 집중적으로 육성하는 한편, 정부의 K콘텐츠 문화복합단지 조성 등 계획도 적극 참여한다는 계획이다.

과학기술 분야에선 정부의 미래신산업 육성전략에 따라 인공지능(AI), 양자, 로봇, 바이오, 드론, 도심항공교통(UAM) 등을 중점 육성 산업으로 선정했다. 또 국가AI컴퓨팅센터, 지역특화 제조AI센터, 양자기술 성능시험 테스트베드 등 각종 연구·개발 시설 유치전에도 적극 나설 방침이다.

이를 위한 유치 전략으로는 원자력 발전소 밀집 등 높은 에너지 자급률과 같은 이점을 적극 활용하는 한편, 원전산업 생태계 복원과 소형모듈원자로(SMR) 등 차세대 에너지원 연구·개발도 집중하기로 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APEC 정상회의 성공 개최로 대한민국이 초일류 국가로 다시 도약할 수 있도록 도정 역량을 결집해 도민에게 희망을 주는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