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사회 '위협적 태도' 비판…중남미 국가 중국 의존 높일 수도
동맹국을 향해 관세 폭탄을 던지려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방식이 오히려 중국과 러시아의 영향력을 더 키울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특히 중남미의 경우 꾸준히 영향력을 확장해온 중국이 반사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2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후안 마누엘 산토스 전 콜롬비아 대통령은 "콜롬비아나 브라질, 칠레 같은 국가들이 수출에 타격을 받는다면 자연스럽게 중국과 같은 국가를 상대로 더 나은 조건으로 물건을 팔 수 있을지 확인하게 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카드'에 압박을 받게 된 국가 입장에선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늘릴 수밖에 없다는 이야기다.
산토스 전 대통령은 "관세가 부과되는 국가는 당연히 피해를 보겠지만, 장기적으로는 미국을 포함한 모두가 부정적인 결과를 보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힘을 통해 당장 상대 국가를 굴복시키고, 원하는 결과를 얻어낼 수 있어도 국제사회에서의 영향력 약화라는 부작용을 각오해야 한다는 취지다.
유럽 동맹국들로 구성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내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불만이 확산하는 분위기다.
나토 회원국들에 대한 '안보 무임승차론'에 이어 북극해에 위치한 덴마크 자치령 그린란드에 대한 노골적인 관심 탓이다.
당초 덴마크는 그린란드를 매입하겠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을 협상용 발언으로 보고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메테 프레데릭센 덴마크 총리와의 전화 통화에서도 관세를 거론하며 위협적인 태도를 보인 이후 상황이 급변했다.
일부 덴마크 정치인들이 덴마크가 미국에 협조하기 위해 20년간 아프가니스탄에 파병한 사실을 언급하면서 배신감을 언급할 정도로 여론이 악화했다.
다른 나토 회원국들도 덴마크의 입장에 공감하고 있다.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는 최근 "국경의 불가침성은 국제법의 기본 원칙이고, 무력으로 변경시킬 수 없다"며 덴마크를 옹호했다.
최근 유럽연합(EU)에선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를 부과한다면 27개 회원국이 미국에 대해 공동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여론이 확산하고 있다.
동맹국을 향해서도 위협적인 태도를 보이는 트럼프 대통령에 대해선 미국 내에서도 비판이 적지 않다.
그린란드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욕심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고 일부 점령지역을 병합한 러시아의 행위와 다를 것이 없다는 것이다.
유럽의 한 고위 당국자는 동맹국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태도가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당국자는 "미국이 유럽을 돕지 않는다면, 유럽은 중국 문제와 관련해 미국을 도울 수 없다"며 "미국과 유럽은 서로 협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미국 정치권에서도 이 같은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팀 스콧(사우스캐롤라이나) 공화당 상원의원은 "국제사회의 규칙을 끊임없이 위반하는 중국 같은 국가들의 의심스러운 행동에 맞서는 것을 이해한다"면서도 "미국의 가까운 동맹국들을 똑같이 대하는 것은 비생산적"이라고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탄핵은 무효"…尹 구속 후 첫 주말집회, 궂은 날씨에도 부산역 뒤덮은 인파
[계엄 두 달]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때와는 다른 尹 지지율
홍준표 "역시 MBC는 못믿겠다…중요 발언 편파적 편집"
[단독인터뷰] 그라운드C 김성원, 헌법재판소 편향성 저격… "국민이 납득할 수 있나" [영상]
김부겸 "제왕적 대통령제 걷어내야…비상계엄 사태 터진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