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캐나다·멕시코·中 등 관세 전쟁 돌입…한국 경제도 직격탄

입력 2025-02-02 11:51:21 수정 2025-02-02 12:04:18

트럼프 대통령. 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 연합뉴스

1일(현지 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 및 멕시코에 25%, 중국에 추가로 10%의 보편적 관세를 각각 부과키로 최종적으로 결정하면서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도 본격적인 영향권에 들어가게 됐다.

이에 발맞춰 다른 국가들이 보복 관세 등 맞대응하면서 트럼프발(發) 관세 전쟁이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국내 주요 기업은 트럼프 정부 1기 때 시작된 대중 무역 제재를 피해 미국과 무관세 협정을 맺은 멕시코에 대거 생산 기지를 확충한 바 있다.

삼성, LG, 현대차그룹, 포스코, CJ 등 대기업이 기존 멕시코 공장을 증설하거나 신규 공장을 추가하면서 투자를 확대했다. 한국의 대(對) 멕시코 투자는 2022년 3억9600만달러를 기록했다.

삼성전자는 멕시코 케레타로와 티후아나에서 가전 공장과 TV 공장을 각각 운영하고 있다. LG전자도 레이노사(TV), 몬테레이(냉장고), 라모스(전장) 등에 생산 기지를 두고 있다. 기아 멕시코 공장에서는 K3, K4, 투싼 등 총 25만3000대가 생산됐고, 이 중 K3 12만8000대가 미국으로 판매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SNS를 통해 국제비상경제권법(IEEPA)에 따라 캐나다, 멕시코, 중국에 대한 관세를 부과 조치를 내렸다고 발표하면서 불법 이민자와 마약의 미국 유입을 거론하며 "우리는 미국 국민을 보호해야 하며 모두의 안전을 확실하게 하는 것이 대통령의 의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북부 국경에서의 불법 마약 흐름에 대응하기 위한 관세 부과' 행정명령에 따르면 캐나다의 에너지 제품을 제외한 모든 물품에 4일(미국 동부시간 기존)부터 25%의 관세가 부과된다. 미국 내 유가 문제와 맞물려 있는 원유 등 캐나다산 에너지 제품에 대한 관세는 10%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와 함께 캐나다에 대해 '최소 기준 면제'(de minimis exemption)도 적용치 않기로 했다. 현재는 개인이 수입하는 800달러 이하의 물품에는 관세가 부과되지 않는다.

행정명령에는 "만약 캐나다가 관세 등으로 미국에 보복하는 경우 관세율을 올리거나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는 이른바 '보복 조항'도 포함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멕시코에 대해서는 에너지류를 포함해 모든 제품에 25%, 중국에 대해서도 10%의 보편 관세가 각각 4일부터 부과한다.

모든 관세는 기존에 부과된 관세에서 추가되는 개념이나 캐나다와 멕시코의 경우에는 무역협정(USMCA)에 따라 그동안 대부분 제품에 관세가 부과되지 않았다.

백악관 관계자는 로이터통신, 뉴욕타임스(NYT) 등 외신에 "관세는 불법 펜타닐이 미국으로 유입되는 경로를 해당 국가들이 제거했다는 사실을 미국이 확인할 때까지 유지될 것"이라면서 개선 평가 지표로 "펜타닐로 인한 미국인 사망이 멈추고 국경에서의 (불법) 이주와 범죄 활동이 극적으로 줄어드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캐나다의 경우 공화당 지역인 플로리다산 오렌지, 테네시주 위스키, 켄터키주 땅콩 등에 대해 관세를 부과해 대응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날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1550억달러(약 226조원) 규모의 미국산 수입품에 25% 보복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또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 역시 미국산 제품에 보복 관세를 부과할 것을 지시했다.

셰인바움 대통령은 자신의 SNS에 "경제부 장관에게 멕시코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관세 및 비관세 조치를 포함, 플랜B를 시행할 것을 지시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