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말까지 전체 스마트폰 출하량 가운데 30%는 생성형 인공지능(AI) 기능을 지원하는 스마트폰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8일 한국 딜로이트 그룹이 펴낸 '2025 첨단기술·미디어·통신 산업 전망' 보고서는 올해 글로벌 스마트폰 출하량이 작년보다 7% 증가해 5%였던 지난해 증가율을 넘어설 것으로 예측했다.
보고서는 "통상적인 스마트폰 기기 교체 주기가 겹친 데다 생성형 AI를 지원하는 차세대 스마트폰에 대한 관심이 높은 소비자와 개발자들의 업그레이드 수요가 더해져 출하량 중 AI 스마트폰 비중이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딜로이트는 생성형 AI가 스마트폰 업그레이드의 동인이 될 수 있지만 소비 양상은 시장과 소비자 연령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고 진단했다.
딜로이트 조사에 따르면 미국 소비자 중 생성형 AI 기능을 써보고 싶어서 계획보다 빨리 스마트폰을 교체한다는 응답자 비율은 전체 7%에 그쳤지만, 24∼45세 젊은 연령층에서는 50%로 급증했다.
하지만, 영국 소비자 대상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4%만이 생성형 AI를 매일 사용한다고 대답했고, 생성형 AI가 유용하다는 응답도 23% 그쳤다.
한편, 보고서는 생성형 AI 기술 발전에 필수적인 인프라로 꼽히는 데이터센터의 전력 소비량이 2030년 올해 소비량의 2배에 가까운 1천65TWh(테라와트시)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댓글 많은 뉴스
'尹파면' 선고 후 퇴임한 문형배 "헌재 결정 존중해야"
'퇴임 D-1' 문형배 "관용과 자제 없이 민주주의 발전 못해" 특강
"조직 날리겠다" 文정부, 102차례 집값 통계 왜곡 드러나
헌재재판관 지명 위헌 논란…한덕수 대행 역풍 맞나
한덕수 돌풍, '어게인 노무현'?…영남이 선택한 호남 후보 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