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동등한 조건서 평가…예비후보지 3곳 제로베이스 검토"
국방부 합의각서 체결 내년 3월 목표…"대구시-국방부 TF 구성"
오는 3월 초에 대구 도심 군부대(5곳) 통합 이전지가 최종 결정된다. 최종 이전지 선정을 위한 평가는 대구정책연구원이 맡게 됐다.
대구시는 23일 대구시청 동인청사에서 기자설명회를 열고 군부대 이전 사업과 관련해 "예비후보지에 대한 평가를 거쳐 3월 초 최종 이전지 한곳을 발표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사업시행자인 대구시는 국방부가 선정한 대구 군위군, 경북 상주시, 영천시 등 예비후보지 3곳을 대상으로 사업성 및 주민 수용성을 중심으로 평가하겠다고 밝혔다.
'사업성'은 사업비와 사업절차 용이성을 중점적으로 평가하고, '수용성'은 이전 지역의 주민 수용성과 이전 군부대의 군 선호도를 평가한다.
대구시는 최종 이전지 선정 평가의 객관성과 공정성 확보를 위해 대구정책연구원에 평가를 의뢰하기로 했다.
대구정책연구원은 내달 초 예비후보지 지자체 3곳을 대상으로 '평가계획 사전 설명회'를 열고 내달 말 지자체별 평가 자료를 접수받는다. 이후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위원회를 통해 최종 이전지를 선정할 계획이다.
윤영대 대구시 군사시설이전특보는 이날 설명회에서 사업시행자가 대구시인 만큼 대구 군위군이 유력 검토되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동등한 조건에서 평가를 진행할 것"이라며 "국방부의 예비후보지 결과에도 별도 순위가 없기 때문에 제로베이스(원점)에서 평가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구시는 내년 3월 국방부와의 '군부대 이전 합의각서' 체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최종 이전지 선정 후에는 국방부와 합의각서를 체결해야 본격적인 사업 시행이 가능하다. 과거 육군 제35보병사단, 제39보병사단 등 군부대 이전의 경우 국방부와 합의각서 체결까지 10년 이상이 소요됐다.
윤 특보는 "최종 이전지가 결정되면 국방부와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원활한 협의를 거쳐 시간을 최대한 앞당길 수 있는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전 대상 군부대는 육군 제2작전사령부, 제50사단사령부, 제5군수지원사령부, 공군 제1미사일방어여단, 방공포병학교 등 대구 소재 5개 부대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함께 사는 세상 만들 것"…이승만·박정희 등 묘역참배
김재섭, 전장연 방지법 발의…"민주당도 동의해야"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文 "이재명, 큰 박수로 축하…김경수엔 위로 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