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정부가 물러섰으니, 의료계도 대화 나서라

입력 2025-01-14 05:00:00

의대 정원 확대에 반발한 전공의들의 집단 사직(辭職)으로 비롯된 의료 공백 사태가 전환점을 맞았다. 정부가 2026학년도 의대 정원 원점 재검토와 복귀(復歸)하는 전공의에 대한 수련 및 입영 특례(特例)를 적용하겠다고 발표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는 전공의, 의대생, 교수들에게 사과도 했다. 의료계에서도 대화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정부는 사직 전공의들이 돌아올 수 있도록 '사직 시 1년 내 복귀 제한' 규정을 풀고, 입영(入營) 연기도 적용하기로 했다. 이는 의료계가 정부에 요청했던 사항이다. 정부의 사과도 의료계가 요구했던 것이다. 최 권한대행은 "2026학년도 의대 정원 확대 규모도 제로베이스에서 유연하게 협의할 수 있을 것"이라며 "수급 전망과 함께 각 학교의 교육 여건까지 감안하겠다"고 밝혔다. 2천 명 늘려 5천58명으로 정한 2026학년도 의대 모집 정원을 대폭 줄일 수 있다는 점을 시사(示唆)한 것이다. 정부가 의료계의 요구를 상당 부분 들어줬으니, 이제는 의료계가 화답할 차례다.

전공의 집단 사직으로 비롯된 의료 공백 사태가 1년 가까이 됐다. 대학병원 등 수련병원(修鍊病院)은 전공의 부족으로 수술과 진료를 축소했고, 환자들은 불안에 떨었다. 의대생들의 집단 휴학으로 의사 공급에도 차질이 빚어졌다. 최근 실시된 의사 국가시험 필기시험 응시자는 지난해의 9.1% 수준인 285명에 불과했다. 응시자 전원이 실기시험까지 합격한다고 해도 올해 신규 의사는 285명뿐이다.

정부가 충분한 소통 없이 의대 정원 확대를 강행하면서 의료 공백을 초래한 것은 큰 실책(失策)이다. 그러나 의대 증원은 국민적 공감대가 강한 정책이다. 의료계의 증원 반대는 명분이 없다. 올해 의대 입학 정원은 되돌릴 수 없다. 의료계는 여론과 현실을 직시하길 바란다. 무리한 요구를 접고, 대화에 나서야 한다. 국민의힘은 여의정(與醫政) 협의체 재가동 의사를 밝혔는데, 야당까지 포함해 논의의 장을 확대하는 것이 맞다. 의료 공백 사태는 끝나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