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총, 20~30대 초중고 교사 1천21명 대상 조사
'이론 중심으로 실생활과 연관성 부족'이 큰 원인
젊은 교사 절반 이상이 학교에서 학생을 위한 경제 교육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와 한국경제인협회가 20~30대 초·중·고등학교 교사 1천21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11월 21일~12월 24일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51%가 학교에서 학생 대상 경제 교육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답했다. '전혀 이뤄지지 않는다'가 15%, '이뤄지지 않는다'가 36%였다.
경제 교육이 충분히 이뤄지고 있다는 답변율은 14%에 그쳤다.
설문에 참여한 교사 84%가 학교에서의 경제 교육이 중요하다고 답한 것과 달리 과반이 실제 학교 현장에서는 경제 관련 교육이 부실하다고 생각한 것이다.
교사 자신도 경제 교육을 학교나 교사 직무연수에서 받았다고 답한 비율은 각각 9%와 8%에 그쳤다. 가장 많은 44%가 'TV, 라디오, 서적, 신문, 잡지'에서 경제 교육을 받았다고 했다.
교사들은 학교 경제 교육의 가장 큰 문제로 '이론 중심으로 실생활과 연관성 부족'(28%)을 1순위로 꼽았다. 이어 ▷'입시 교육 위주로 경제 교육 소홀' 27% ▷'경제교육 자료 부족' 18% ▷'경제 전담교사 부족' 17% 순이었다.
학교 경제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경제 관련 교재 및 자료 개발'(32%), '교사 연수 프로그램 확대'(30%), '현장 체험학습 기회 확대'(18%) 등이 필요하다고 봤다.
교총 관계자는 "교사가 피부에 와닿는 경제교육을 충분히 접하고 이해해야 올바른 경제생활 영위는 물론 학교 경제교육도 변할 수 있다"며 "더 유익하고 체험적인 경제 연수와 프로그램을 마련해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판사가 법 아닌 정치에 휘둘려…법치 죽고 양심이 사라졌다"
[단독] 영 김 美 하원의원 "탄핵 주도 세력은 한반도에 큰 재앙 초래할 것"
지지율 상승에도 기회 못 잡는 與…한가하게 개헌론 꺼낼 땐가
되풀이 되는 대통령 수난사…정치권에서는 개헌 목소리 커져
尹측 '중국 간첩' 언급에 선관위 "사실 아냐···사소한 실수, 부정선거 증거 못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