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협회 "트럼프 친기업 감세 정책 시행, 대미 투자기업 주시해야"

입력 2024-12-30 17:00:00

지난 19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 스페이스X의 시험발사를 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과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연합뉴스
지난 19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 스페이스X의 시험발사를 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과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연합뉴스

내년 초 출범하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자국 제조 기업을 중심으로 법인세 감세 등 세제 개혁을 추진한다. 이에 맞춰 국내 대미 투자 기업의 대응책이 중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30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발간한 '미 트럼프 신행정부의 세제 개혁 전망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트럼프 당선인은 1기 행정부 당시 추진한 '세금 감면 및 일자리 법(TCJA)'의 연장 및 연방 법인세 인하 등을 골자로 한 세제 개편을 예고했다.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경우 미국 공화당이 상하원을 모두 장악해 이 같은 세제 개혁 추진에 속도가 붙을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앞서 트럼프 당선인은 유세 과정에서 연방 법인세율을 현행 21%에서 20%로 1%포인트 인하하고, 미국 내 제조 기업의 경우 최대 15%까지 추가 인하하는 감세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아직 구체적인 감세 방안이 정해지지 않아 기업들이 혼란을 겪고 있지만, 법인세 인하와 함께 추진될 TCJA 개편도 보너스 감가상각 등 기존 감세 혜택을 연장하거나 영구화하는 방향으로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강금윤 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공화당의 양원 장악으로 트럼프 감세 공약의 현실화 가능성이 높아졌다"며 "대미 투자 기업은 사업전략 수립 시 미국의 세제 개편 내용을 면밀히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미국에서 디지털세와 글로벌 최저한세 입법은 당분간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현재 미 공화당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합의에도 조세 주권 포기 및 미국 기업 차별이라는 논리로 이에 반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