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수의 법인 및 법조인들에게 사건 수임 제안, 일부는 거절
계엄 주도한 이들 사전 준비 정황도 속속 드러나
윤석열 대통령이 법률대리인 선임을 위한 작업에 들어갔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윤 대통령에 대한 출국금지 조치에 이어 강제수사 가능성이 거론되자, 본격적으로 수사 대비에 돌입한 것으로 풀이된다.
10일 국민일보에 따르면, 윤 대통령 측은 최근 서울 서초구의 A법무법인 등과 사건 수임을 논의하고 있다. 대통령실 관계자가 전날 A법무법인을 비롯해 복수의 법인 및 법조인들에게 사건 수임을 제안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중 일부 법인은 사건을 맡을지 고심하고 있고, 수임을 거절한 법인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는 전날 내란 등 혐의를 받는 윤 대통령에 대해 출국금지를 신청했고 법무부가 이를 받아들였다. 현직 대통령의 출국이 금지되는 것은 전례가 없는 일이다.
경찰과 검찰도 윤 대통령을 향한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는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구속영장 청구서에 '김 전 장관이 윤 대통령과 공모해 국헌 문란의 목적으로 폭동을 일으켰다'는 취지의 내용을 담았다.
특수본은 김 전 장관에게 내란 중요임무 종사 혐의를 적용했는데, 사실상 내란의 우두머리는 윤 대통령이라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김 전 장관의 신병을 확보하면 특수본은 주변 인물을 거쳐 조만간 윤 대통령을 내란 등 혐의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 조사할 것으로 전망된다.
윤 대통령 등 계엄을 주도한 이들이 사전에 준비를 한 정황도 속속 드러나고 있다.
이날 국회 국방위원회 긴급 현안 질의에 국군방첩사령부, 국군정보사령부, 육군 등 군의 주요 직위자들이 출석해서 김 전 장관이 비상계엄 선포 며칠 전부터 은밀하게 각급 부대와 인물에게 지시를 내리며 계엄에 속도를 냈던 정황을 증언했다.
특히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부 사령관은 "대통령께서 비화폰으로 직접 제게 전화를 해 '의결 정족수가 다 안채워진것 같다. 빨리 문을 부수고 들어가서 안에 있는 인원들을 끄집어내라'고 지시했다"고 발언했다. 그는 윤 대통령이 한차례 전화를 걸어 707특임단 위치를 물었다고 주장했는데, 이를 번복하고 총 두 차례 통화했다고 했다.
곽 전 사령관은 또 TV를 보고 비상계엄을 알았다는 기존 진술도 번복했다. 그는 ""1일 민주당사, 국회, 선관위 3곳, 여론조사 꽃 등 6곳을 확보하라는 임무를 받았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