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대통령, 비상계엄 수사 대비 변호인 선임 작업 들어가

입력 2024-12-10 18:51:36

복수의 법인 및 법조인들에게 사건 수임 제안, 일부는 거절
계엄 주도한 이들 사전 준비 정황도 속속 드러나

윤석열 대통령이 3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긴급 발표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3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긴급 발표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법률대리인 선임을 위한 작업에 들어갔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윤 대통령에 대한 출국금지 조치에 이어 강제수사 가능성이 거론되자, 본격적으로 수사 대비에 돌입한 것으로 풀이된다.

10일 국민일보에 따르면, 윤 대통령 측은 최근 서울 서초구의 A법무법인 등과 사건 수임을 논의하고 있다. 대통령실 관계자가 전날 A법무법인을 비롯해 복수의 법인 및 법조인들에게 사건 수임을 제안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중 일부 법인은 사건을 맡을지 고심하고 있고, 수임을 거절한 법인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는 전날 내란 등 혐의를 받는 윤 대통령에 대해 출국금지를 신청했고 법무부가 이를 받아들였다. 현직 대통령의 출국이 금지되는 것은 전례가 없는 일이다.

경찰과 검찰도 윤 대통령을 향한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는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구속영장 청구서에 '김 전 장관이 윤 대통령과 공모해 국헌 문란의 목적으로 폭동을 일으켰다'는 취지의 내용을 담았다.

특수본은 김 전 장관에게 내란 중요임무 종사 혐의를 적용했는데, 사실상 내란의 우두머리는 윤 대통령이라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김 전 장관의 신병을 확보하면 특수본은 주변 인물을 거쳐 조만간 윤 대통령을 내란 등 혐의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 조사할 것으로 전망된다.

윤 대통령 등 계엄을 주도한 이들이 사전에 준비를 한 정황도 속속 드러나고 있다.

이날 국회 국방위원회 긴급 현안 질의에 국군방첩사령부, 국군정보사령부, 육군 등 군의 주요 직위자들이 출석해서 김 전 장관이 비상계엄 선포 며칠 전부터 은밀하게 각급 부대와 인물에게 지시를 내리며 계엄에 속도를 냈던 정황을 증언했다.

특히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부 사령관은 "대통령께서 비화폰으로 직접 제게 전화를 해 '의결 정족수가 다 안채워진것 같다. 빨리 문을 부수고 들어가서 안에 있는 인원들을 끄집어내라'고 지시했다"고 발언했다. 그는 윤 대통령이 한차례 전화를 걸어 707특임단 위치를 물었다고 주장했는데, 이를 번복하고 총 두 차례 통화했다고 했다.

곽 전 사령관은 또 TV를 보고 비상계엄을 알았다는 기존 진술도 번복했다. 그는 ""1일 민주당사, 국회, 선관위 3곳, 여론조사 꽃 등 6곳을 확보하라는 임무를 받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