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호·김상훈 與원내 지도부 총 사퇴…與 내부선 재신임 요구 적잖아

입력 2024-12-08 18:36:23 수정 2024-12-08 21:49:09

친한동훈계 중심, 비상계엄 당시 대응 두고 추 원내대표 책임론 제기
추 원내대표 복귀 가능성 낮다…당 일각 "혼란 수습 위해 한 대표가 직접 설득해야"

국민의힘 추경호 원내대표가 2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김상훈 정책위의장과 대화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추경호 원내대표가 2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김상훈 정책위의장과 대화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탄핵안 폐기 직후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와 김상훈 정책위원회 의장 등이 사임을 표명하면서 여당 원내 지도부 전원이 공석이 됐다.

8일 여권에 따르면 탄핵과 예산안 정국 등을 헤쳐 나가기 위해 추 원내대표를 재신임해야 한다는 친윤(윤석열)계와 추 원내대표 재신임을 거부하는 친한(한동훈)계가 맞부딪히고 있다.

추 원내대표는 7일 밤 의원총회에서 "헌정사상 세 번째 대통령 탄핵 표결이 이뤄진 작금의 상황에 책임을 지겠다"며 사의를 표했다.

추 원내대표가 자리를 뜬 후 열린 의총에서 친윤계 중진 권성동 의원은 "혼란스러운 시기에 원내지도부를 바꾸면 안 된다"며 재신임 안건 상정을 요청하고 '박수 추인'을 제안했다.

이때 친한계 한지아 의원이 여당 의원 18명만 비상계엄 해제 표결에 참석한 상황에 추 원내대표 책임이 있다며 반대 의사를 밝혔다. 이어진 거수 표결에서 전체 78명 중 73명이 찬성해 가결됐다.

계엄 당시 상황을 두고 당내 일각에서 자신에 대한 책임론이 거론되는 상황에서 추 원내대표가 재신임 요청을 받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전해진다. 추 원내대표 측 관계자는 "한 대표 요청이 있는 경우 외에는 힘들 것"이라며 "현 상황에 책임을 지겠다는 뜻이 강하다"고 밝혔다.

당 내부에선 추 원내대표와 한 대표가 힘을 합쳐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한 재선 의원은 "탄핵뿐만 아니라 예산안 등 해결할 사항이 복잡한데, 추 원내대표가 물러나면 당내 갈등이 커져 더 헤쳐나가기 힘들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