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수능 분석해보니… N수생 강세 여전

입력 2024-12-08 15:55:08 수정 2024-12-08 21:05:34

2024 수능 분석 결과…서울 학생 평균 점수 최고·학교별 편차 커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는 반수생, 재수생, 삼수생 등 이른바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는 반수생, 재수생, 삼수생 등 이른바 'N수생'이 21년 만에 가장 많이 몰렸다. 사진은 지난달 13일 서울 한 고등학교 졸업생 수험표 교부처 모습. 연합뉴스

지난해 11월 치러진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 이른바 N수생의 국어·수학 평균 점수가 고3 재학생보다 12점 이상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8일 공개한 '2024학년도 수능 성적 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수능에서 N수생으로 통하는 졸업생의 국어 표준점수 평균은 108.6점으로, 고3 재학생(95.8점)보다 12.8점 앞섰다. 수학 표준점수 평균은 N수생이 108.2점으로 고3(96.1점)보다 12.1점 높았다.

절대평가인 영어에서 1등급 비율은 N수생이 7.1%로, 고3(3.6%)의 두 배 수준이었다.

N수생은 수험 기간이 길고, 내신에 신경 쓰지 않아도 되는 등 수능에 집중할 시간이 많아 통상 재학생보다 성적이 우수하다는 분석이다. 다만 지난해 N수생 강세는 예년과 비교하면 두드러지지 않았다.

2022학년도 통합 수능 도입 이래 국어·수학 영역에서 N수생과 고3 간 격차가 가장 작았다. 2022학년도 수능에선 N수생 표준점수 평균은 고3보다 국어 13.2점, 수학 12.3점 각각 앞섰다.

학교 소재지별로 보면 대도시 학교의 국어·수학 표준점수 평균(각 98.5점, 98.8점)이 중소도시(95.5점, 95.7점), 읍면지역(93.3점, 93.6점)보다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도별로는 서울 소재 학교의 국어·수학 표준점수 평균이 최고였다.

서울의 표준점수 평균은 국어 101.2점, 수학 101.6점으로 전국에서 유일하게 100점을 넘었다.

시도 내 학교 간 표준점수 평균 차이가 가장 작은 곳은 광주로, 국어는 21.4점, 수학은 23.4점 차였다. 광주 시내 학교 간 성적 격차가 가장 작았다는 의미다.

평균 성적이 가장 우수한 서울의 경우 학교 간 성적 격차가 국어의 경우 52.5점으로 전북(57.7점), 경기(53.3점)에 이어 세 번째로 컸다. 수학은 61.9점으로 전국에서 격차가 가장 크게 벌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