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첫 외국 방문지는 파리…유럽 정상들 모일까

입력 2024-12-03 16:10:21 수정 2024-12-03 18:15:21

"7일 파리로 출국, 매우 특별한 날 될 것"…마크롱 초청으로 성사된 듯

트럼프 당선인이 당선 후 첫 외국 방문지를 프랑스로 정했다. 연합뉴스
트럼프 당선인이 당선 후 첫 외국 방문지를 프랑스로 정했다. 연합뉴스
5년 전 화재로 건물 일부가 소실됐던 파리의 노트르담 대성당이 지난달 29일(현지시간) 공사를 끝내고 새 모습을 드러냈다ㅣ.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성당의 내부를 둘러보고 있다. EPA 연합뉴스
5년 전 화재로 건물 일부가 소실됐던 파리의 노트르담 대성당이 지난달 29일(현지시간) 공사를 끝내고 새 모습을 드러냈다ㅣ.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성당의 내부를 둘러보고 있다. EPA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당선 후 첫 외국 방문국을 프랑스로 정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평소 친분이 깊은 데다 EU(유럽연합)와 관계를 염두에 둔 행보로 풀이된다.

◆노트르담 재개관식 참석

트럼프 당선인은 7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노트르담 대성당 재개관식에 참석한다. 그는 2일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5년 전 끔찍한 화재 이후 완전히 복원된 웅장하고 역사적인 노트르담 대성당 재개관식에 참석하기 위해 토요일(7일) 프랑스 파리로 출국한다는 것을 발표하게 돼 영광"이라고 적었다.

트럼프 당선인이 지난달 5일 미국 대선에서 승리한 뒤 외국을 방문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착공 시점을 기준으로 861년 역사의 노트르담 대성당은 지난 2019년 4월 15일 보수공사 도중 원인 모를 화재가 발생해 높이 96m의 첨탑이 무너지고 목조 지붕이 대부분 소실됐으며, 이후 5년여의 복구 작업 끝에 오는 7일 공식 재개관한다.

트럼프 당선인의 재개관식 참석은 마크롱 대통령의 초청을 트럼프 당선인이 수락함으로써 성사된 것으로 보인다.

미 CNN 방송은 "트럼프 팀이 마크롱 대통령실과 이번 방문과 관련해 며칠 동안 논의해왔다고 이 계획에 정통한 소식통이 전했다"며 "한 소식통은 트럼프 당선인이 프랑스 정부의 공식 초청을 받았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CNN에 따르면 트럼프 당선인은 집권 1기 행정부 시절 내내 마크롱 대통령과 긴밀히 협력해왔으며 두 사람은 때로 적대적인 관계로 보였지만, 일종의 '브로맨스'로 묘사되기도 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트럼프 당선인이 이번 대선에서 승리한 직후 축하를 전한 첫 외국 지도자였다고 CNN은 전했다. 당시 마크롱 대통령은 엑스(X·옛 트위터)에 "트럼프 대통령의 당선을 축하한다. 지난 4년 동안 그랬던 것처럼 함께 일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트럼프 당선인도 이날 트루스소셜 글에서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노트르담이 과거의 영광을 완전히 되찾고 더욱 영광스럽게 될 수 있도록 훌륭한 일을 해냈다"고 칭찬한 뒤 "(재개관식은) 모두에게 매우 특별한 날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각국 정상들, 파리로(?)

트럼프 당선인이 내년 1월 20일 취임을 한 달 이상 남긴 상황에서 외국으로 향하는 만큼 각국 정상들도 파리에 모여들 공산이 크다. 첫 외국 방문지가 미국의 서방 동맹국들이 모여 있는 서유럽의 중심인 파리라는 점도 주목된다.

트럼프 당선인이 취임 후 모든 외국산 제품에 10∼20%의 보편적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약한 상황에서 외국 정상 및 주요 인사들이 트럼프 당선인을 상대로 앞다퉈 '눈도장'을 찍으려 할 수 있어서다.

EU는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 농산물 수입 확대 등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최근 미국산 LNG 수입 확대 방안을 트럼프 당선인에게 제안한 사실을 공개했다. 헝가리에서 열린 비공식 EU 정상회의에서 트럼프 재집권 대응 전략을 논의한 뒤였다.

미국산 LNG 수입을 늘려 러시아산 의존도를 낮추는 것이 미국과 EU 모두에 이익이 된다는 것이다.

EU는 또 군수품 조달에 미국 기업 참여를 허용하고 미국의 대중국 정책에도 더 긴밀히 협력할 준비를 하고 있다.

트럼프 당선인은 미국이 주도해온 서방 군사동맹인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의 회원국들을 향해 '안보 무임승차론'을 앞세워 꾸준히 방위비 인상을 압박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