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 구성한 주민협의체도 반발… "성서소각장 2·3호기 사용 연장하려면 주민 동의 구해야"

입력 2024-11-21 14:34:36 수정 2024-11-21 22:52:35

"20년 피해 본 주민들 어떡하나" 주민 설명회· 주민 의견 수렴 요구
대구시, "타당성 조사 후 의견 수렴 계획 중… 요구에 응할 것"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 성서사업소. 달서구의회 제공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 성서사업소. 달서구의회 제공

대구시가 구성한 성서 자원회수시설(이하 성서소각장) 주민지원협의체가 대규모 개보수로 소각장 2‧3호기 사용 연장을 추진하고 있는 시에 반대 목소리를 냈다. 앞서 시민단체가 2‧3호기 사용 연장 반대에 나선 적은 있지만 주민지원협의체가 반대 의견을 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성서소각장 주민협의체는 21일 오랜 기간 성서 지역 주민들이 피해를 입고 있다며 이같은 내용의 입장문을 전달했다.

서민우 성서소각장 주민협의체 위원장은 "대구시는 성서소각장 개보수에 대해 주민협의체의 의견은 물론이고, 지역민의 의사도 단 한 번도 수렴하지 않았다"며 "20년 넘게 피해를 본 주민들에게 사업을 계속 진행해도 될지 반드시 물어봐야 한다. 대구시에 주민 설명회를 열어달라고 요구했다"고 말했다.

성서소각장 2‧3호기는 1998년 준공돼 내구연한 15년을 한참 넘겼다. 대구시는 노후 설비에 매년 수리비가 25억~30억원 투입되고 있다며 오는 2029년까지 사업비 1천162억원을 투입해 대규모 개보수에 나선 상태다. 사실상 소각장 사용을 2030년 이후까지 이어가겠다는 계획을 밝힌 셈이다.

앞서 지역 시민단체가 2·3호기의 사용 연장을 반대하는 목소리를 내왔지만, 주민지원협의체가 반대 의견을 개진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주민지원협의체는 폐기물시설촉진법에 따라 의무적으로 구성해야 하는 기구로, 대구시와 달서구청·달서구의회가 협의해 지난 2022년 설치됐다. 달서구의회 의원 4명, 환경공학과 교수 2명으로 구성된 협의체는 폐기물 처리 과정을 감독하고, 주민들의 피해가 커지지 않도록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대구시는 내년으로 예정돼 있는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이후에 주민 설명 절차를 갖겠다면서도 2‧3호기의 사용 연장 계획에는 변함이 없다는 입장이다. 오는 2030년부터 쓰레기 직매립이 금지돼 쓰레기 소각 수요가 늘어날 전망이라는 점도 개보수가 불가피한 이유로 꼽았다.

신종수 대구시 자원순환과장은 "대구시 자원순환계획을 통해 2·3호기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것이며, 추후 보수할 계획을 분명히 밝혀왔다"며 "타당성 조사를 통해 후보안이 나오면, 주민지원협의체가 요구에 따라 주민과 협의할 자리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