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현장]답은 현장에 있다

입력 2024-11-12 14:08:01 수정 2024-11-12 19:03:57

윤수진 사회부 기자

윤수진 기자
윤수진 기자

"내 그럴 줄 알았다."

지난 1일 찾은 대구 서구 신평리시장의 온누리상품권 부정유통 의혹을 받는 한 점포. 이날도 불은 꺼져 있었고, 사람이 없었다. '직접 채취' 문구가 붙어있는 가판대 위에는 오래전 버려진 누런 종이컵 하나가 놓여 있을 뿐이었다.

이 시장에서 10년 넘게 장사를 해왔다는 한 상인은 "처음 저 가게가 문을 열 때부터 낌새가 이상했다"고 털어놨다. 점포 주인은 지난해 8월쯤 간판도 달지 않은 채 온누리상품권 환전 한도 상향 신청을 했고, 시장 상인회장이 우선 장사부터 제대로 하라고 돌려보낸 점포였다고 한다.

점포 주인은 그 이후로 간판을 달고, 점포 안에 쌀 몇 포대를 갖다 놨다. 두 달 동안 가게에 불을 켜고 정상 영업을 했다. 그렇게 온누리상품권 환전 상향 신청서에 상인회장의 도장을 받았다. 그러나 도장을 받아 간 이후, 점포에 불을 켜는 일이 부쩍 드물어졌다는 게 주변 상인들의 증언이다.

장사도 제대로 하지 않던 쌀 가게에서 1년 동안 온누리상품권으로만 약 18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는 소식이 알려지자, 시장은 발칵 뒤집어졌다. 해당 점포 앞을 지나가던 한 상인은 "어디 면 단위 지역의 쌀을 다 걷어서 온누리상품권으로만 팔았나 보다"라며 비아냥 섞인 농담을 던지기도 했다.

대구 달서시장의 한 농산물 업체도 마찬가지였다. 이곳은 올해 지류 온누리상품권으로만 13억6천700만원의 매출을 올려 전국 6위를 차지했다. 하지만 지난달 31일 찾은 점포 안은 농산물은 온데간데없이, 그저 주변 김밥집의 창고처럼 사용되고 있었다.

특히 문제가 된 건, 전국 온누리상품권 매출 1~3위에 해당하는 대구 북구 팔달신시장 점포 세 곳이었다. 세 가족 명의로 된 이 점포들은 5개월 동안 무려 900억원대의 온누리상품권을 부정유통한 의혹을 받고 있다.

이곳 역시 현장을 직접 찾아 확인한 결과, 주변 상인들의 얘기 속엔 수상한 점이 많았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현금 깡'을 전문으로 하는 브로커의 개입이 있었다는 폭로가 나왔다. 약 90억원의 이익 중 90%에 달하는 80억원가량이 모두 브로커의 손에 넘어갔다는 것이다.

브로커들은 전문적으로 제도의 빈틈을 노렸다. 점포 한 곳당 환전 한도를 최대 월 99억원까지 높일 수 있다는 점을 파고들었다. 환전 한도를 상향하려면 매출 신고 내역이 필요한데, 100억원 가량 선결제를 해서 매출 신고를 한 후 취소하는 방법을 써서 세금계산서를 만들도록 했다.

편법이 난무하는 온누리상품권의 세계에서, 매출 금액과 그 순위 자료만 들여다봐서는 그 상황을 제대로 알 수 없다. 점포 주인이 얼마나 자주 가게에 나오는지, 점포 내부가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매출 증빙을 무슨 수로 했는지는 현장에 직접 가 봐야 알 수 있다. 지금까지 부정유통 의혹을 받은 점포들의 '서류'엔 큰 문제가 없었다.

결국 제도의 허술함이란, 서류만 보다가 현장을 놓친 데 있었다. 근처에 장사하는 상인들은 '그럴 줄 알았다'는데, 이를 관리하는 감독 기관은 서류만 확인하느라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웠던 것이다. 특정 가맹점에서 수개월 동안 비상식적인 매출이 발생했지만, 관리·감독 기관인 소진공 등은 현장 방문을 한 차례도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서류상으로도 2중, 3중 확인하는 절차가 필요하겠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현장 상황을 꾸준히 파악하는 것이다. 이번 논란을 계기로 주무 부처에선 부랴부랴 현장 조사에 나섰다. 앞으로는 온누리상품권이 더 이상 편법에 휘둘리지 않도록 꾸준하고도 철저한 관리·감독이 이뤄지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