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진교 계명대 경영학과 교수(산학연구원 원장)
무산된 줄 알았던 대구경북 행정통합 논의가 합의에 이르렀다는 반가운 소식을 들었다. 행정통합이 최종 결정된 것은 아니지만 중요한 고비를 넘겼다는 점에서 다행스럽다. 대구경북 산업 경쟁력이 빠르게 약화되고 있는 지금, 행정통합 논의 재개는 매우 시의적절하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2년 대구경북 지역내총생산(GRDP)은 전국의 8.2%로 2015년 9.5%에서 1.3%포인트(p) 하락했다. 같은 기간 수도권 비중은 2.7%p 상승했는데, 그 절반이 대구경북의 감소분에서 비롯된 셈이다. 2015년 이후 경북의 연평균 성장률은 0.25%로 울산(-0.73%)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낮다. 지역 경제에 심폐소생술이 필요한 상황이다. 대구경북 행정통합에 거는 기대가 크다.
행정통합은 경제적, 행정적 측면에서 여러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대구경북이 통합되면 수도권과 유사한 대규모 광역 경제권이 형성된다. 이는 국내외 기업들이 보다 큰 시장과 인프라를 갖춘 지역으로 인식하게 되어 투자 유치가 수월해질 수 있다. 특히 산업·경제적 시너지 효과를 통해 제조업, ICT, 물류 등 다양한 산업에서 경쟁력이 강화될 수 있다.
또한 행정통합은 대규모 지역 개발 프로젝트를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지역 경제 성장을 촉진한다. 통합에 따른 대형 프로젝트(교통, 물류 허브 개발 등)가 추진되면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되고, 지역 경제 활성화가 가속화될 수 있다. 이는 지역 내 청년층의 고용 기회를 늘리고 인구 유출을 줄이는 데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수도권 중심의 경제 구조에서 벗어나 지방 경제가 독자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대구와 경북이 통합하여 더 큰 경제권을 형성하면 중앙 정부의 의존도를 줄이고 자립적 경제 구조를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를 통해 지역 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지역 발전을 촉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긍정적 효과 가운데 우리가 더욱 기대하는 것은 경제적 효과를 극대화하여 비수도권 거점 경제축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무엇보다도 우선돼야 하는 것은 산업 간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해 서로의 강점을 살릴 수 있는 클러스터를 구축해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대구의 의료 산업과 경북의 ICT 산업을 결합해 의료·바이오 산업을 고도화할 수 있다.
둘째로 스마트시티 및 디지털 혁신의 추진 전략이 요구된다. 대구와 경북을 스마트시티 모델로 구축하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도시 관리와 편리한 시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스마트시티 환경은 IT, IoT, AI 등 관련 산업의 성장을 촉진하며 고부가가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
셋째, 연구개발(R&D) 센터 및 교육 인프라 강화에 힘써야 한다. 대구경북에 R&D 센터를 설립해 지역 대학 및 연구 기관과의 연계를 강화하면, 첨단 기술 개발과 인재 양성에 기여할 수 있다. 이는 지역 청년층의 지역 이탈을 막고, 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숙련 인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전략 방안들이 유기적으로 실행되어 경제적 성장을 촉진하고, 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도 많다. 우선 주민 공감대 형성과 함께 정치적 합의와 협력, 법적·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어야 한다. 특히 행정통합이 단기적인 변화에 그치지 않도록 장기적인 비전과 구체적인 실행 계획이 마련되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수년간 거래내역 사찰?… 대구 신협 조합원 집단소송 제기
'대구의 얼굴' 동성로의 끝없는 추락…3분기 공실률 20%, 6년 전의 2배
[기고-김장호] 표현의 자유보다 시민의 안전 우선해야
"안전 위해 취소 잘한 일" vs "취소 변명 구차"…이승환 콘서트 취소 두고 구미서 엇갈린 반응
우원식, 韓대행 탄핵가결 정족수…야당 주장하는 '총리기준 151석' 밝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