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병은 아트리움모리 큐레이터
대구경북의 몇 안 되는 귀한 미술관 중 대구보건대에 위치한 인당뮤지엄은 2007년 박물관으로 개관 이후 2016년부터 명칭을 변경해 다양한 장르의 예술을 소개해왔다. 대구에서 진행되는 전시나 새롭게 생겨나는 전시 공간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음에도 인당뮤지엄의 존재에 대해 잘 알지 못하다가 2022년 윤희 작가의 개인전 'non finito'를 보기 위해 처음 미술관을 찾았던 기억이 있다. 당시 널찍한 전시장의 규모와 작품과 멋지게 어우러지는 공간의 모습에 반해 이곳을 더 일찍 찾지 못했던 것에 대한 아쉬움이 컸었다.
굵직한 활동을 이어오는 작가들의 기획 초대전을 꾸준히 이어오는 인당뮤지엄에서 현재 최병소 초대전 'now here'가 개최되고 있다. 신문지 위에 볼펜과 연필로 새까만 선을 뒤덮는 작가로 잘 알려진 최병소는 그 자신의 작품에 많은 영향을 준 인물로 김구림 작가를 언급한다. 김구림의 실험적인 작업들을 통해 예술에 있어 장르나 형태에 한계가 없다는 점을 깨달을 수 있었다고 말하며, 1975년도에 진행된 '한국 실험 작가전'과 '대구현대미술제'에서의 전위적인 작업들을 거쳐 지금의 신문 작업을 시작했다.
작가는 '미술'이어야 한다는 생각을 버렸기에 자신의 작품이 현대미술이 될 수 있었다고 이야기한다. 작품을 제작하는 데 있어 캔버스가 아닌 신문을, 유화물감이 아닌 볼펜과 연필을 선택한 이유도 기존의 관습을 탈피하고자 하는 실험적인 그의 태도에서 비롯됐을 것이다. 반복과 수행을 거치는 작업들이 그 가치와 깊이를 작업 속에 담아내기 위해서는 수년간 지속하는, 실제로 작가 자신에게 있어 기꺼이 먼 길을 가고자 하는 축적된 시간들이 동반돼야한다. 70년대부터 현재까지, 긴 시간 지속해온 작가의 작업은 끝없이 반복되고 설치로 확대돼 이어지며 그 자체로서의 서사를 만들어내고 있다. 인당뮤지엄에서 펼쳐지는 이번 전시 'now here'에서는 작가 최병소의 1970년대 초기작부터 현재의 신작까지 총 60여 점의 작품으로 그가 걸어온 예술의 길을 함께 되짚어볼 수 있는 기회가 된다.
오랜 시간 신중히 자신의 예술 세계를 구축해온 작가의 회고전은 관람객에게 매우 친절한 줄거리 요약본이자 다른 무엇이 아닌 작가 그 자신의 세월들에 근거해 작품을 바라볼 수 있는 가이드가 되어주기에 꼭 찾아보려 애쓰는 편이다. 작업의 주제와 정체성을 구축하는 가장 핵심적인 요소인 '작가의 고민'들을 한 곳에서 시대에 따라 바라볼 수 있는 것은 그 작가의 지난 시간과 고뇌를 이해할 수 있는 가장 쉬운 기회다. 새까맣게 덧칠해놓은 화면. 거칠게 찢긴 모습이 암흑 속의 고요한 바다 같기도, 거칠게 자라난 나무의 껍질 같기도 한 이 작품이 도대체 뭐길래 그렇게 유명한 걸까? 최병소라는 이름을 들어는 봤지만 그가 해온 무수한 볼펜질들은 무엇을 위한 것인지 궁금했을 이들에게 지나온 그의 세월을 함께 걸어볼 수 있는 인당뮤지엄의 이번 전시를 추천한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이진숙 방통위원장 직권면직 검토
국힘 '이진숙 면직검토'에 "그 논리면 임은정은 파면"
국민의힘 "728조 내년 예산, 포퓰리즘 가득한 빚더미"
트럼프 빼준 의자에 앉지 않은 李대통령…"경상도 예의"
홍준표, 유튜브 '홍카콜라' 재개…"세상 사는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