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탄소중립’ 포스코 수소환원제철소 건립, 정부 적극 지원해야

입력 2024-10-24 05:00:00

포스코 포항제철소가 '2050 탄소중립'을 목표로 추진하는 수소환원제철소 건립 사업이 내년 6월 착공(着工)될 전망이다. 수소환원제철을 통한 탄소중립은 포스코의 생존은 물론 글로벌 철강 경쟁력 확보와 직결(直結)되는 필수적이고 중차대한 사업이다. 이를 위해 2030년부터 2050년까지 수십조원의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는 점에서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재정적 뒷받침이 요구된다.

철강산업은 이산화탄소 등 환경오염물질 배출로 다른 업종보다 탄소 배출량이 많아 탄소중립이라는 세계적 추세(趨勢)에 맞추기 위한 기술 개발이 불가피하다. 유럽연합이 2026년부터 철강, 알루미늄 등 탄소 배출이 많은 6대 품목에 대해 탄소국경세를 적용하는 등 미국, 유럽연합 등은 탄소 배출 억제(抑制)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내놓고 있다. 철강 강국인 우리나라도 여기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에서 수소환원제철 기술이 유력(有力)한 방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는 철광석에서 산소를 분리하는 환원제를 석탄에서 수소로 바꿔 가루 형태의 철광석과 수소를 사용해 쇳물을 만들어냄으로써 탄소 배출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기술이다. 포항제철소는 인근 동쪽 앞바다 공유수면 총 135만㎡를 매립해 수소환원제철소 3기 건립에 나서 1기 공장은 2033년 준공할 계획이다. 포스코는 포항 수소환원제철소 건립(20조원)과 전남 광양 수소환원제철 사업을 포함해 모두 40조원을 투자할 방침(方針)이다.

정부도 지난 2017년부터 수소환원제철 기술 개발을 위한 정책적 지원을 시작했지만, 해외 철강 강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세계 3위의 조강 생산국인 일본은 수소환원제철 기술에 1조원 이상의 정부지원금을 투입하고 있고, 한국보다 철강 생산량이 적은 독일의 경우 최대 10조원의 국비를 투입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비해 한국은 '저탄소 철강 기술'에 예산 2천685억원이 배정(配定)된 상태에서 수소환원제철 사업에 대한 국비는 269억원에 불과하다.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과 관심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