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기업 3곳 중 2곳 "지정학 리스크 경영위험으로 인식"

입력 2024-10-20 15:37:56 수정 2024-10-21 05:29:29

대한상의 지정학적 리스크 장기화 영향과 대응 실태조사'

부산항 감만부두 야적장에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다. 연합뉴스
부산항 감만부두 야적장에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다. 연합뉴스

수출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출 기업 3곳 중 2곳은 지정학적 리스크를 '경영 위험'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국내 수출제조업 448곳을 대상으로 '지정학적 리스크 장기화 영향과 대응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 기업의 66.3%는 지정학적 리스크를 경영 위험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답했다.

일시적 위험으로 인식한 기업(39.5%)이 가장 많았고 사업 경쟁력 저하 수준(23.7%), 사업 존속을 위협하는 수준(3.1%)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큰 영향이 없다고 답한 기업은 32.6%였고, 반사이익(0.7%)이나 새로운 기회 요인(0.4%)을 기대하는 기업은 소수였다.

'경영 위험'으로 인식한 기업을 대상으로 피해 유형(복수응답)을 조사한 결과 환율 변동, 결제 지연 등 금융리스크(43.1%)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물류 차질 및 물류비 증가(37.3%), 해외시장 접근 제한·매출 감소(32.9%), 에너지·원자재 조달 비용 증가(30.5%), 원자재 수급 문제로 인한 생산 차질(24.1%), 현지 사업 중단 및 투자 감소(8.1%) 등의 순이었다.

주요 교역국별로 보면 대(對)중국 교역기업의 경우 해외시장 접근 제한·매출 감소(30.0%) 피해가 가장 컸다. 미중 갈등으로 인한 제약으로 수출이 대폭 감소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미국과 러시아 대상 수출입 기업의 경우 환율 변동, 결제 지연 등 금융 리스크 피해(미국 30.2%, 러시아 54.5%)가 큰 비중을 차지했다. 유럽연합(EU)과 중동으로 수출입하는 기업은 물류 차질 및 물류비 증가 피해(EU 32.5%, 중동 38.0%)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향후 지정학적 리스크 장기화에 따른 기업 차원의 대응 전략(복수응답)을 묻자 수출기업의 57.8%는 '비용 절감 및 운영효율성 강화'를 꼽았다.

대한상의는 지정학적 리스크가 확대되는 상황에서 기업에 부담을 줄 수 있는 규제 정책 도입에 신중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아울러 중장기적으로는 미국, 중국 등 주요국의 전략산업 정책 강화에 대응해 첨단산업의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대만해협을 둘러싼 양안 갈등, 북한 핵 위협 등 향후 우리 기업 경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잠재 리스크가 상존하고 있다"며 "지정학적 리스크 발생 시 단기적으로는 유가·물류비 상승으로 피해를 보는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수출 바우처 등 정책 지원을 확대하는 한편, 중장기적으로는 정부가 민관 협력을 통해 자원개발을 주도하고 핵심 원자재의 공급망 안정화에 주력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