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의대 증원' 방침에 반발한 의대생들이 수업을 거부하는 가운데, 군 입대를 택한 의대생이 1천명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교육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23일 기준 전국 37개 의대에서 1천59명이 군 입대 사유로 휴학 허가를 받았다. 이는 전국 40개 의대 중 자료를 제출하지 않은 3개 의대는 제외한 수치다.
특히 올해 입대 휴학 의대생 수는 지난해(162명)의 6.5배에 달한다. 2021년과 2022년에도 입대 휴학 의대생은 각각 116명, 138명으로 100명대에 머물렀다.
올해 입학 휴학 의대생 1천59명은 국립대 358명, 사립대 701명으로 집계됐다. 한 국립대에서는 69명이 입대를 이유로 휴학했다. 이 학교의 경우 2021~2023년 입대 휴학 의대생이 연간 한 자릿수에 불과했던 것으로 알려졌는데, 올해 크게 증가한 셈이다.
입대 휴학 의대생 중 상당수는 단체로 수업을 거부하는 기간 동안 군 복무를 해결하려는 것으로 해석된다. 대체로 의대생들은 의사 면허를 따고 군의관의나 공중보건의로 복무하는데, 올해는 현역 군인에 지원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군의관과 공중보건의 공급에 차질이 생길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진선미 의원은 "윤석열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정책으로 '의대' 대신 '군대'를 선택하는 학생들이 평년 대비 7배 이상 늘었다"며 "정부는 조건부 휴학을 승인할 것이 아니라 의대생들과 조건 없이 대화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