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17개 시도교육청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 발표
피해응답률 11년 만에 2%대…"학폭 민감도 높아진 탓"
대구지역 학생 피해응답률은 0.9%, 전국 평균보다 낮아
올해 학교폭력을 당했다고 답한 초·중·고등학생이 4년 연속 증가하며 11년 만에 2%대로 올라섰다.
교육부는 17개 시도교육청이 시행한 2024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전수조사) 결과와 2023년 2차 학교폭력 실태조사(표본조사)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학교폭력 실태조사는 1년에 두 차례 시행되며 1차는 전수조사, 2차는 표본조사다.
2024년 1차 전수조사는 지난 4월 15일부터 5월 14일까지 초4~고3 재학생 전체 398만 명, 2023년 2차 표본조사는 지난해 9월 18일부터 10월 17일까지 초4~고2 재학생 중 표본 4%(약 19만 명)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올해 전수조사에서 학교폭력을 당했다고 답한 '피해응답률'은 지난해보다 0.2%포인트(p) 오른 2.1%로 집계됐다. 피해응답률은 2013년 2.2%에서 2016~2017년 0.9%까지 내려갔다가 다시 올라 2019년 1.6%가 됐지만, 코로나19 여파로 비대면 수업이 이뤄지면서 2020년 0.9%까지 떨어졌다.
그러나 다시 대면수업으로 전환하면서 ▷2021년 1.1% ▷2022년 1.7% ▷2023년 1.9% ▷2024년 2.1%로 4년 연속 높아졌다.
학교폭력을 겪었다는 학생 비율은 나이가 어릴수록 높았다. 학교급별 피해응답률은 올해 전수조사의 경우 초등학교 4.2%, 중학교 1.6%, 고등학교 0.5%로, 지난해보다 각각 0.3%p, 0.3%p, 0.1%p 높아졌다.
피해 유형 중에서는 언어폭력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전수조사인 1차를 기준으로 학교폭력 피해유형별 응답률(복수 응답 가능)을 보면, 올해 '언어폭력'이 39.4%로 가장 비중이 높았다. 전년(37.1%)보다 2.3%p 확대됐다.
그다음으로는 '성폭력'의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성폭력'은 전체의 5.9%로, 여덟 가지 피해 유형 중 비중으론 다섯번째였으며, 증가 폭은 0.7%p였다. 특히 '성폭력' 피해 응답률의 경우 2020년(3.7%)부터 4년 연속 증가해 교육부가 학교폭력 실태조사를 시작한 2013년 이래 가장 높았다.
사이버폭력은 6.9%에서 7.4%로 0.5%p 높아졌다. 사이버폭력의 경우 '초등학생'(6.3%), '중학생'(9.2%)에 비해 '고등학생'(10.4%)에서 피해 응답률이 두드러졌다. 최근 텔레그램 단체 대화방 등을 통해 대거 유포돼 논란이 된 딥페이크 역시 사이버폭력에 해당한다.
성윤숙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피해응답률이 높아진 것에 대해 "학교폭력이 사회적 쟁점으로 부상하면서 학교폭력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한편, 대구지역 학생이 학교폭력을 당했다고 답한 피해응답률은 0.9%로 전국 평균(2.1%)보다 낮은 수준으로 파악됐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