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력평가, 모의평가 결과 정리해둬야
다양한 대학 발표 자료 기준 자신 학생부 검토
수시 지원 전략의 출발점은 수능 경쟁력이지만 수능 경쟁력을 결정하는 과정이 쉽지만은 않다. 모의고사를 바탕으로 지원 가능 대학을 살펴보지만, 여러 이유를 들며 그 결과를 평가절하하거나 평가절상하는 경우가 종종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수시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단계별로 반드시 점검해야 하거나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포인트들이 있다.
9월 모의평가 후 수능 경쟁력을 판단할 수 있도록 이전의 학력평가와 모의평가 결과를 잘 정리해 둬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성적을 유지하거나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학습 계획을 세우고 실천해야 한다. 이미 결정된 것들에 집착하기보다는 앞으로 바꿀 수 있는 것에 집중하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다음으로 학생부교과전형 지원을 검토할 때 대체로 많은 학생들이 학생부교과 평균 등급을 중심으로 검토한다. '어디가'에서 공개하는 지난 입시 결과에도 학생부교과 평균 등급을 공개하고 있는데, 평균 등급 중심의 접근에 큰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나 각 대학은 고유의 반영 방식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대학별 환산 점수를 살펴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다시 말해 '반영 교과와 과목'에서 모든 교과인지, 주요 교과인지, 주요 교과의 기준은 무엇인지, 각 교과의 몇 과목을 반영하는지 등을 확인하고 교과별 반영 비율이 다른지 확인해야 한다. 등급별 점수 기준도 살펴야 하는데 특정 등급 대에서 점수 차가 크게 벌어지는 경우라면 치명적일 수 있다.
또한 서류 평가 중심의 학생부종합전형은 정성 평가로 진행될 뿐 아니라, 매년 경쟁자들의 학생부도 달라진다는 점에서 깜깜이 전형이라는 평가도 있다. 그렇다고 아무 근거 없는 지원을 할 수는 없다. 나름의 근거를 만들어 지원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때 가장 좋은 도구가 학교 발표 자료이다. 많은 대학이 매년 '학생부종합전형 가이드북(안내서)'를 발간해 학생들의 지원을 돕고 있을 뿐 아니라, 수시 모집 요강에도 서류 평가 방법을 자세히 안내하고, 합격 수기를 영상으로 제작해 공유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학생부종합전형 지원을 위해서는 이처럼 다양한 대학 발표 자료를 기준으로 자신의 학생부를 검토해야 한다.
다음으로 원서를 쓰는 행위는 지난 노력의 결실이기 때문에 욕심이 생길 수밖에 없는데 노력의 결실을 맺기 위해서는 입시가 끝나고 난 뒤 후회를 덜 할 수 있는 선택을 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원칙이 있어야 하는데, 그 원칙 중 하나가 꼭 쓰고 싶은 대학을 정해서 접근하는 것이다. 아울러 하한선을 정하는 것도 필요한데 아무리 불안하더라도 그 하한선 아래로는 지원하지 않아야 후회를 줄일 수 있음도 명심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논술, 면접고사와 같이 대학별고사를 실시하는 전형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때 자신의 논술 경쟁력이나 준비 정도 등도 중요하지만 대학별고사 실시일을 점검해야 한다. 당연히 시험을 보는 일정이 촉박할 수록 시험 대비 기간도 짧아지며, 시험 날 체력 및 컨디션 관리가 어려울 수 있기에 일정을 고려한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
(차상로 송원학원 진학실장)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