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IST, 유럽연합(EU)과 손잡고 반도체 원천기술 선도

입력 2024-07-31 09:51:19

‘한국-EU 반도체 공동연구’ 관련 2개 과제 주관연구기관 선정

DGIST 전경.
DGIST 전경.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이 유럽연합(EU)과 글로벌 공동연구를 통해 반도체 원천기술 확보에 나선다.

DGIST는 최근 한국과 EU가 반도체 분야 기술 협력을 위해 선정한 4개의 '공동연구 컨소시엄' 중 2개의 컨소시엄에서 주관연구개발기관으로 참여한다고 31일 밝혔다.

한국과 EU가 선정한 4개의 '공동연구 컨소시엄'에는 DGIST(2개 과제), 성균관대, 한양대 등이 주관연구개발기관으로 참여한다. 한-EU 반도체 공동연구는 '이종집적화'와 '뉴로모픽' 분야를 주제로 오는 2027년 6월까지 3년 간 수행되며, 우리나라는 총 84억원, EU는 약 600만 유로(약 90억원) 규모의 연구비를 지원할 예정이다.

DGIST는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윤종혁 교수가 '실리콘 포토닉스 기반 solid-state LiDAR 데이터 뉴로모픽 연산가속기' 기술 개발을 위한 글로벌 공동연구를 수행한다. 또 로봇및기계전자공학과 한상윤 교수는 '뉴로모픽 광학 전이학습 AI 엔진을 위한 이종집적 다중소재 광집적회로 칩렛'을 주제로 글로벌 공동연구를 수행한다.

DGIST 이건우 총장은 "EU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반도체 원천기술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고, 국가 경쟁력 확보는 물론 반도체 기술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