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법무장관 때 李 '사법리스크' 맹폭…영장 기각에 "죄 없지 않아"
文정부 검사였던 韓, 조국 일가 수사지휘…혁신당, '韓특검법' 추가발의
한동훈 신임 당대표가 23일 국민의힘의 지휘봉을 쥔 가운데 맞상대인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전 대표, 조국혁신당 조국 대표의 질긴 '악연'이 새삼 주목된다.
현재 이재명 전 대표는 민주당 전당대회에서 사실상 연임이 확실시되고, 조 대표 또한 지난 20일 약 99% 지지율로 당 대표에 선출됐다. 나란히 원내 1·2·3당의 대표로 마주하게 됐지만, 이들의 과거 인연은 껄끄럽다고 할 수밖에 없다는 평가를 받는다.
우선 한 대표와 이 전 대표의 오랜 원한은 한 대표가 법무부 장관으로 있던 윤석열 정부 출범 직후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한 대표는 이 전 대표를 향한 대장동·백현동 개발 의혹과 성남FC 후원금 의혹 등 사법 리스크를 가장 앞장서 비판했다.
법무무장관 시절이던 지난해 9월에는 국회 본회의장에서 야당 의원 반발 속에 이 전 대표 구속 필요성을 조목조목 역설해 깊은 인상을 남겼다.
이후 이 전 대표 구속영장이 법원에서 기각됐을 때는 "(그에게) 죄가 없다는 것이 아니다. 검찰이 흔들림 없이 수사할 것"이라고 일갈했다.
한 대표와 조 대표의 오래된 악연도 만만찮다.
문재인 정부 때인 2019년 한동훈 대표는 대검찰청 반부패·강력부장으로, 당시 법무부 장관이던 조 대표 일가 비리 수사를 지휘한 바 있다.
조 대표는 검찰의 대대적 수사와 여론의 압박에 못 이겨 결국 취임 35일 만에 법무부 장관직을 사퇴했고, 지금도 '사법 리스크'에 발이 묶여있다.
자녀 입시 비리와 청와대 감찰 무마 등 혐의로 2심에서 징역 2년 실형을 선고받은 조 대표는 상고심에서도 실형을 받으면 즉시 의원직을 잃어야 하는 처지다.
조국혁신당이 앞서 발의한 '한동훈 특검법'에 한 대표의 사설 댓글팀 운영 의혹을 추가해 재발의한 것 역시 한 대표 리더십에 상처를 내기 위한 시도로 해석된다.
세 사람의 얽히고설킨 악연은 이미 지난 4월 총선 무대에서 표면화됐다. 22대 총선을 석 달가량 앞두고 비대위원장으로 나선 한 대표는 이른바 '이조 심판론'을 총선 캐치프레이즈로 내세웠다.
이 전 대표와 조 대표의 사법리스크를 전면에 띄운 전략이었지만, 결과적으로 국민의힘이 총선에서 참패했고 한 대표는 비대위원장직에서 물러났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극심한 여소야대 상황임을 고려할 때 한 대표가 당분간 야당에 유화적 제스처를 보이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나온다.
반면, 민주당과 조국혁신당에서 최근 전당대회 시즌과 맞물려 '윤석열·김건희 특검', '한동훈 특검' 추진 등 강경론이 득세한 상황이어서 잠깐의 화해 분위기 조성도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도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