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국가전략기술 세액공제 3년 연장…7월부터 반도체 저리대출"

입력 2024-06-26 15:38:41 수정 2024-06-26 22:09:28

"반도체 생태계 펀드 3천억원→1조1천억원으로 확대"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6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6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17조원 규모 반도체 저리 대출 프로그램을 가동한다. 올해 말 일몰 예정이었던 국가전략기술에 대한 세액공제도 2027년 말까지 3년 연장한다.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6일 정부 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지난 5월 정부는 글로벌 반도체 경쟁 주도권 확보를 위해 26조원 규모의 반도체 지원 기본방향을 밝혔고, 오늘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확정했다"며 이 같이 밝혔다.

이번에 나온 '반도체 생태계 종합지원 추진방안'을 보면 내달부터 KDB산업은행 출자를 통해 17조원 규모 저리 대출 프로그램을 시작한다. 대상은 국내에 신규 투자하려는 소재·부품·장비 일명 소부장과 팹리스, 제조시설 등 반도체 전 분야의 국내외 기업이다. 대기업은 일반 대출과 비교해 0.8~1.0%포인트(p), 중소·중견기업은 1.2~1.5%p 낮은 우대 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다.

이와 함께 현재 3천억원 수준인 반도체 생태계 펀드를 2027년까지 1조1천억원 규모로 확대한다. 추가되는 재원은 정부 재정 2천억원, 산업은행 2천억원, 민간매칭 4천억원 등으로 구성한다. 투자 대상은 반도체 소부장 기업, 인수합병(M&A)과 사업 규모를 키우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팹리스 기업이다.

국가전략기술 세액공제도 2027년까지 연장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조세특례제한법을 개정할 계획이다.

현재 국가전략기술 연구개발(R&D) 투자는 중견·대기업 30~40%, 중소기업 40~50%의 공제율을, 시설 투자는 중견·대기업 15%, 중소기업 25%의 세액공제율을 적용하고 있다.

또한 국가전략기술에 첨단반도체 소부장과 관련된 기술 등을 추가해 적용대상기술도 확대한다. 이를 위해 연말까지 업계와 부처에서 건의한 기술에 대해 분야별 전문가 평가회를 거쳐 추가할 기술을 검토할 예정이다.

R&D 인력양성 등에 대한 재정 지원도 확대한다. 내년부터 2027년까지 3년간 5조원을 투자하고, 산업계 수요에 대응한 인력 양성을 위해 반도체 특성화대학(18곳), 대학원(6곳), AI 반도체 대학원(3곳) 등도 늘린다.

최 부총리는 "야당에서도 반도체 특별법을 발의한다는 발표가 있었는데 정부도 이러한 정책 제안을 적극 환영하고, 예산안 및 세법 개정안 심의 과정에서 건설적 논의가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