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첫 6·25 정부 행사, 대구경북 전투 집중 조명 “국가 지켜낸 것 자랑스러워”

입력 2024-06-25 15:28:26 수정 2024-06-25 20:35:18

참전유공자, 참전국 주한 외교사절 등 1천300여 명 참석
행사 내내 ‘낙동강 방어선’ 집중 조명
尹 "대구경북 승리가 대한민국 위기 극복해 내"

윤석열 대통령이 부인 김건희 여사와 함께 25일 오전 대구 북구 엑스코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부인 김건희 여사와 함께 25일 오전 대구 북구 엑스코에서 '이 땅, 이 바다, 이 하늘을 위해'를 주제로 열린 제74주년 6·25 전쟁 기념행사에서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정부는 올해부터 지방 거부 참전유공자의 행사 참여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6·25 전쟁 기념행사를 광역별 순회 행사로 진행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임시수도와 낙동강 방어선 사수 등 6·25 격전지가 다수 소재한 대구에서 처음 개최됐다.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6·25전쟁 제74주년을 기념하는 행사가 지방 중 처음으로 대구에서 열렸다. 목숨을 걸고 낙동강 이남을 사수했던 참전유공자들은 그 어느 때보다 감회가 새롭다며 입을 모았다. 취임 이후 처음으로 6·25 전쟁 기념식에 참석한 윤석열 대통령은 강력한 안보태세를 재차 강조했다.

25일 오전 10시 6·25전쟁 제74주년 행사가 열리는 대구 엑스코 오디토리움 일대는 엄숙한 분위기가 맴돌았다. '6·25참전유공자'라고 적힌 흰색 모자와 노란 훈장이 달린 베이지색 재킷을 입은 참전유공자들은 긴 세월을 증명하듯 지팡이에 의지해 천천히 행사장 안으로 입장했다.

학도병으로 6·25전쟁에 참여했던 장상곤(91) 씨는 "여태껏 대구에서 이런 큰 행사는 없었는데 감개무량하다는 생각이 든다"며 "지방 중 대구가 처음인 데다 대통령께서도 참석하셔서 더욱 뜻 깊다"고 말했다.

'이 땅, 이 바다, 이 하늘을 위해'란 주제로 열린 이날 행사는 참전유공자와 정부 및 군 주요 인사, 참전국 주한 외교사절 등 1천300여 명이 참석했다. 1부 기념식은 헌정공연과 정부포상, 기념사 등을 포함해 약 45분 동안 진행됐고, 이후 2부 위로연이 이어졌다.

특히 이날 행사에서는 영상과 공연을 통해 대한민국을 지키는 마지막 저지선이었던 '낙동강 방어선'이 집중 조명됐다. 당시 국군은 다부동 전투, 영천 전투, 포항 전투 등 8개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며 전쟁의 판세를 뒤집을 수 있었다.

6.25참전유공자회 달서구지회 소속 남병성(92) 씨는 "아직도 전쟁 당시가 생생하다. 당시 대구가 무너지면 나라가 무너진다는 생각으로 온 힘을 다해 이곳을 지켜냈다"며 "이번 행사를 통해 나라를 지킨 일이 자랑스럽다는 생각을 다시금 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기념식에서 "포항, 칠곡 다부동, 안강, 영천을 비롯해 대구와 경북 곳곳에서 치열하게 싸웠고, 값진 승리를 거뒀다"며 "이 결정적인 승리가 대한민국이 절체절명의 위기를 극복하고 다시 일어서는 전환점이 됐다"고 밝혔다.

이어 "북한의 도발과 위협에 맞서,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주의와 우리 국민의 삶을 든든하게 지키겠다"며 "어떠한 경우라도 북한이 대한민국을 넘보지 못하도록 확고한 대비태세를 유지하고, 북한의 도발에 압도적으로, 단호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행사는 대구경북을 대표해 경산 문명중 1학년 학생들과 계명대 국외봉사단, ROTC 장교 후보생 등도 참석하며 의미를 더했다.

문명중 1학년 이승기(13) 군은 "6.25전쟁이 마냥 옛날 일로만 여겨졌는데 직접 행사에 참여해보니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쳐 싸우신 분들을 진심으로 존경하게 됐다"며 "선조들이 그랬듯 나 역시 국가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사람이 되겠다"고 했다.

대구경북을 대표해 이날 행사에 참석한 문명중 1학년 학생들. 문명중학교 제공
대구경북을 대표해 이날 행사에 참석한 문명중 1학년 학생들. 문명중학교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