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가 무섭다” 50년 된 평화시장 공동주택 ‘붕괴위험’…동구청은 ‘뒷짐’

입력 2024-06-16 16:02:49 수정 2024-06-16 20:54:30

동구 평화시장, 지난해 6월 안전등급 D등급 진단
전통시장 해당 않는 2·3층 주거부는 보수공사 대상에서 제외
주민들 “안전점검·보수비용 마련 어려워”
150가구 미만 소규모 공동주택 안전문제 취약
지자체마다 조례 만들어 지원하지만 동구청 상대적으로 미비

대구 평화시장(삼아아파트) 건물 외벽 곳곳에 금이 가고, 모서리는 콘크리트가 부식되며 떨어져나간 자국이 보인다. 녹슨 철근도 삐죽 튀어나왔다. 김유진 기자
대구 평화시장(삼아아파트) 건물 외벽 곳곳에 금이 가고, 모서리는 콘크리트가 부식되며 떨어져나간 자국이 보인다. 녹슨 철근도 삐죽 튀어나왔다. 김유진 기자

지은 지 50년이 지난 대구 동구 평화시장 소규모 공동주택 주민들이 장마철을 앞두고 '붕괴 위험'을 호소하고 있다. 주민 대다수가 취약계층으로 보수공사는커녕 안전 점검도 어려운 상황이지만 동구청은 지원 근거가 없단 입장이라 사태 장기화 및 안전사고가 우려된다.

지난 14일 오후 찾은 대구 동구 평화시장. 3층 높이 건물 외벽 페인트가 벗겨진 사이 곳곳에는 뚜렷한 금이 보였고, 외벽 모서리는 콘크리트가 떨어져 나간 모습도 노출했다. 검붉게 녹슨 철근이 그대로 드러났으며 천장은 빗물 누수로 인해 곰팡이 자국이 가득했다.

1974년 준공된 평화시장 건물은 지하 1층~지상 1층은 상가, 지상 2층~3층은 35가구 규모의 소규모 공동주택(삼아아파트)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 건물은 안전점검 결과 지난해 6월 내·외부 벽체 및 기둥 내력상실 등으로 긴급 보수·보강이 필요한 'D등급' 판정을 받았다. 바로 아래 최하위 'E등급'은 즉시 폐쇄 후 수리·재건축 대상일 정도로 좋지 않은 상태다.

대구시는 시장 현대화 목적으로 진행하는 '2024년 전통시장 노후시설 안전전검 사업'에 따라 평화시장 상가 구역은 시비 2천750만원을 투입, 이달부터 보수 공사를 추진한다. 문제는 2~3층은 상가가 아니어서 이번 공사 대상이 아니란 점이다.

아파트 주민들이 스스로 보수 공사를 진행해야 하지만 이들 대다수가 취약계층이라 붕괴 위험에도 별다른 수를 쓰지 못하고 있다. 이곳에서 수십년 간 살아 온 70대~90대까지 고령 주민이 대다수고 생활형편이 어려워 잠시 이사갈 곳조차 마땅찮다는 것이다.

권진숙(61) 삼아아파트 입주자대표는 "기초생활수급자 4가구를 포함해 35가구가 살고 있는데 대부분 생활형편이 어렵고 고령층"이라며 "관리비도 걷지 못하는 형편에 보수 공사나 안전점검은 엄두도 못낸다"고 토로했다.

대구 동구 평화시장 건물 계단을 받치고 있는 기둥이 노후화로 인해 부식돼 있다. 이곳 주민들은 장마철 때 마다 누수 피해가 심하다고 호소했다. 김유진 기자.
대구 동구 평화시장 건물 계단을 받치고 있는 기둥이 노후화로 인해 부식돼 있다. 이곳 주민들은 장마철 때 마다 누수 피해가 심하다고 호소했다. 김유진 기자.

장마철을 앞둔 주민과 상인들의 불안은 커져만 간다. 이곳 주민 김국임(84) 씨는 "올해 장마철 때도 빗물이 많이 샐 것 같아 무섭지만 지금 와서 이사 갈 곳도 없다"고 토로했다. 평화시장 인근 상인 이모(61) 씨는 "3층 높이에서 콘크리트 부식물이라도 떨어지면 사람이 크게 다칠 수 있어 걱정"이라고 토로했다.

공동주택관리법상 150가구 이상 공동주택은 정기 안전점검 의무가 있어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하나 150가구 미만 소규모 공동주택은 관련 규정이 전무한 것도 문제다. 이 때문에 지자체마다 별도 조례를 만들어 안전점검과 보수공사 보조금을 지원하고 있지만 동구청은 소극적인 편이다.

일례로 수성구청은 올해 '공동주택 관리비용 지원사업'에 예산 3억원을 투입, 소규모 공동주택 보수공사, 안전점검 비용을 70%씩 보탠다. 중구청, 서구청, 남구청, 북구청, 달서구청은 공용부분 보수 공사비를 일정 부분 지원한다. 각 구청마다 지원 내용은 일부 상이하나 장마철 안전과 직결되는 '옥상 방수 공사'는 필수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동구청은 공용 부분 보수 공사 지원 사업을 시행할 뿐, 정작 삼아아파트에 절실한 옥상 방수, 도장·도색, 외벽 균열보수 등은 지원하지 않아 실효성 있는 도움을 줄 수 없는 상황이다. 동구청 관계자는 삼아아파트에 대해 "사유 재산이라 주민들이 수선하는 게 맞고 옥상 방수 역시 조례에 근거가 없어 지원이 불가하다"고 일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