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하반기 중 벤처생태계 지원방안 마련…지역 창업생태계 자생력 높일것"

입력 2024-06-07 13:52:49

"지역 소재 투자·보육 전문기업 펀드 결성 지원"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7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벤처업계 간담회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7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벤처업계 간담회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7일 "수도권과 비교해 여전히 큰 격차를 보이는 지역 창업생태계 자생력을 높일 계획"이라며 "2026년까지 1조원 규모의 지역 전용 벤처펀드를 조성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 부총리는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혁신벤처단체협의회 주요 협회장을 만나 최근 벤처 업계 동향과 현장의 애로사항을 들은 이같이 밝혔다. 혁신벤처단체협의회는 벤처생태계 관련 투자·산업 등 분야별 19개 협회·단체 간 협의체다.

이날 자리에 참석한 성상엽 벤처기업협회장 등 업계 관계자는 "벤처기업 특성상 다른 업종과 같은 근로 시간 규제 등을 적용하기 어렵다"며 "신산업 혁신을 위한 규제개선과 개인정보 활용 확대해달라"고 건의했다. 벤처기업의 인재 확보와 육성, 벤처펀드 지원 확대를 비롯해 성장단계 기업의 투자금 회수 시장 활성화도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에 최 부총리는 "올해 하반기 중 '벤처 생태계 지원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라며 "올해 모태펀드를 통해 2조8천억원 규모의 벤처펀드를 빠르게 조성하는 등 벤처기업의 자금조달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고 했다.

아울러 "올해 8천억원 규모로 조성하는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를 통해 1천억원 이상의 세컨더리 전용 펀드를 조성해 회수 시장 활성화를 지원할 계획"이라며 "오는 9월 운용사를 최종 선정해 펀드 조성에 나설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지역 소재 투자·보육 전문기업의 펀드 결성을 지원하고 모태펀드 위탁 운용사 선정 시 지역 소재에 대한 평가 가점 확대 등을 통해 실적·경력 쌓기도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